-
-
모나리자 바이러스
티보어 로데 지음, 박여명 옮김 / 북펌 / 2016년 7월
평점 :
학교 다닐 때 처음 본 모나리자는 사실 무서웠다. 배경도 어둡고 미소를 짓고 있는데도 뭔가 우울하고 감추고 있는 느낌의 인상이라서 좋아보이지는 않았다. 신비스러운 미소라고 하는데 정말 그런 건지 그림에 어떤 비밀이 감춰져 있는 건지 알 수는 없지만 감춰져 있는 무언가가 있는 것은 맞는 것 같다. 모나리자의 미소를 소재로 한 영화나 소설, 다큐 등 수없이 많은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졌지만 은근히 스릴러나 공포, 추리 등의 내용이 많은 걸보면 뭔가 감추고 있는 그림이라는 느낌은 나만 받고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정말 대단한 사람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다. 후세에 많은 사람들이 연구하고 연구해도 아직 파고 들어갈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는 걸 보면 정말 대단한 학자이며 예술가임에 틀림이 없다. 이 책 모나리자 바이러스는 제목부터 호감이 가는 책이었다. 모나리자가 들어가 있으니 더더욱 재미있으리라는 근거 없는 추측도 해 가면서...
헬렌과 밀러는 각각 신경미학자와 FBI요원이다. 신경미학자라는 직업을 이번에 처음 알았다. 두 사람의 활약으로 비밀을 벗겨가는 내용은 늘 그렇듯 영화적인 구조로 호기심을 자아낸다. 미스 아메리카후보들이 관광차를 타고 가던 중 납치당하고 성형수술을 당한 후 버려진다. 벌들도 떼죽음을 당하고 곳곳에서 테러가 일어난다. 초반에는 사건과 사건이 꼬리를 물고 일어나 놀라움을 준다.
사건을 한 가지씩 풀어갈 때마다 새로운 일들이 나오고 또 꼬리를 물면서 새로운 일들이 일어난다. 작가는 댄 브라운이 돌아왔다는 찬사를 들을 만큼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재주가 있다. 실제로 읽어보니 더위를 이기는데 적당한 모험과 스릴러, 추리가 가미돼 즐거운 소설이다. 긴 내용이 지루하게 느껴질 틈을 주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