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해서 남 주자 - 글로벌 인재 육성, 새 길을 찾아서
김영길 지음 / 비전과리더십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공부’는 끝이 없는 길이다. 물론 중단해도 뭐라 할 사람 아무도 없다. 지극히 개인적인 약속일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나와의 약속이고 깰 수 없는 약속이다. 이 글의 저자인 김영길 한동대 초대 총장은 공부라면 정말 해 볼 만큼 해 본 분이다. 서울대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유학하고 미국항공우주국과 뉴욕 인코중앙연구소에서도 일했다. 공부라면 정말 물리게 했을 것 같은 분이다. 우리나라에 돌아와서는 책의 제목과 같은 ‘공부해서 남주자’는 타이틀로 교육 커리큘럼을 만들어 학생들을 교육해 왔다.
p137
한동대학교의 슬로건은 “공부해서 남주자!”이다, 보통 “공부해서 남주냐?”가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각이지만 공부해서 남 주자고 생각을 바꾸면 삶의 목표가 달라진다. 공부해서 남을 주려면 줄 게 많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열심히 공부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순한 이론 같지만 남을 가르쳐 주려면 나부터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하니 저절로 공부를 잘하게 되고 다른 사람들까지 이끌어주면서 공부를 하게 된다는 이론...공감하게 만든다. 하지만 요즘은 초중고등학교를 지나면서 서로 이끌어주면서 으쌰으쌰 하는 분위기는 찾기 힘들다. 내가 다른 이보다 더 잘해야 좋은 등수를 받고 좋은 대학을 가게 된다는 생각을 하고 있으니 서로 도와줄리 만무다. 직장에 가게 되도 마찬가지다. 더 좋은 자리로의 승진을 하려면 남과 같아서는 될 리가 없다. 안타깝지만 사실이다.
하지만 그 오래전 김영길 총장은 상생하는 법을 터득했던 것 같다. 나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이를 생각하고 함께 공부해 나가는 것이 바로 자신을 살리고 남도 살리는 길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지례의 순박한 산골마을에 살 던 학생이 서울대학교에 가게 되고 유학을 하고 미항공우주국까지 가게 된 건 정말 그런 마인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기적인 마음을 누르고 이타적으로 배우고 공부했던 시간들이 오히려 자신에게 도움이 되고 발전시켰다는 생각이 든다. 협동심과 국제화를 강조하는 저자의 생각에 동의한다. 이제는 우리나라 안은 너무 좁다. 이미 전 세계에 한국인의 힘을 떨치고 있고 보여주고 있는데 더 많은 학생들과 직장인들이 우리나라를 넘어서 전 세계로 나가야 할 것 같다. 이제 국가라는 개념은 점차로 없어지고 글로벌한 환경안에서 살게 된다.
이런 환경안에서 자신을 성장시키고 발전시키려면 다른 이들과 함께 하는 것을 배워야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 공부는 더불어 평생 공부다. 평생을 하는 공부에 힘써야 한다. 자신을 다듬고 가꾸는 것에 게을리 하면 안된다. 김영길 총장의 삶또한 쉽게 쉽게 갈 수 있었지만 그 자신과 남을 위한 삶이었고 교육계를 위한 삶이었다. 늘 노력하는 마음과 삶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