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페라홀릭 - 인터넷오페라로 경험한 천 개의 세상
이보경 지음 / 창해 / 2015년 11월
평점 :
오페라는 그냥 노래나 뮤지컬과는 다른 거리감을 주고 있다. 왠지 옷장에서 가장 멋지고 예쁜 옷을 꺼내 입고 높은 힐의 구두를 신고 머리엔 깃털 모자까지 쓰고 모피 코트를 두르고 사뿐사뿐 극장으로 들어서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예전보다는 많이 대중화가 된 느낌이기는 하지만 아직도 거리감이 많이 좁혀졌다고는 볼 수 없는 것 같다. 그건 심리적인 거리감이 더 큰 듯하다. 그런 반면에 뮤지컬은 많이 대중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비교가 된다. 영화를 보러 극장에 가는 것처럼 좋은 뮤지컬을 골라 보러가자고 약속을 정하는 모습은 이제 연말이면 쉽게 볼 수 있다.
작가는 mbc기자로 일하면서 오페라를 좀 더 쉽고 저렴하게 볼 수 있는 방법을 인테넷을 통해 찾았다. 여러 사이트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오페라를 장르별로 음악가 별로 에피소드별로 잘 정리해 두고 있어 오페라를 보면서 사전처럼 찾아보면 좋을 듯하다.
첫 장에서는 인터넷 등을 이용해 저렴하게 혹은 무료로 오페라를 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오페라의 참맛을 즐길 수 있는 시간들을 제시하고 바른 감상법들도 예로 들고 있다. 그다음 장은 시대별로 오페라의 특징과 기법과 분위기 등을 시대 상황과 맞물려서 이야기하고 있어 오페라의 역사를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다.
3번째 장에서는 오페라를 비교 분석하면서 읽어 볼 수 있게 정리하고 있어 작가의 오페라에 대한 애정과 식견을 알아 볼 수 있는 내용을 만들고 있다.
작가는 오페라라면 학교 다닐 때 암기한 음악가와 작품 명 말고는 아무것도 모르는 나에게 좋은 정보를 주는 것과 동시에 오페라를 한 번 제대로 듣고 싶다는 생각을 심어주었다. 어려운 것이 아니고 충분히 볼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것 만해도 이 책은 역할을 제대로 해 낸 것이 아닌가 한다.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오페라 목록을 작곡한 음악가의 이름과 함께 정리하고 있어 찾아 들어보기 쉽다.
나와 마찬가지로 오페라에 대해 일반인이었던 작가가 어떤 부분에서 오페라에 대해 공감을 하고 감상을 시작하게 됐는지 전문적인 식견으로 발전한 내용을 잘 읽을 수 있었다. 더불어 오페라에 관한 인식을 바꾸고 쉽게 들어 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