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뇌와의 대화 - 하버드 의대교수 앨런 로퍼의
앨런 로퍼 & 브라이언 버렐 지음, 이유경 옮김 / 처음북스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뇌’는 언제나 신비롭다. 뇌 안에 어떤 것들이 들어 앉아 우리의 행동과 생각을 지배하는가.

뇌는 어느 시대나 과학자들이나 인문학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소재다.

하버드 의대교수인 앨런 로퍼도 이런 의문점을 가지고 출발을 한다. 그가 만나온 환자들의 케이스를 맞춰서 내용을 만들어 내었다. 많은 사례들을 통해 얼마나 많은 뇌의 역할과 아직도 탐험하지 못한 내용의 뇌 연구 부분이 남아있는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겠다.

이 책에는 많은 병명과 잘 들어보지 못한 어려운 약물의 이름 등이 나와 어려울 수 있다.

무슨 말인지 익숙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케이스마다 확실한 설명을 달아두어 어렵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지은이가 신경학을 전공하겠다고 하자 많은 사람들이 말렸다고 한다. 그는 이것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본문 p200

뇌와 정신의 연결은 많은 사람을 신경학으로 끌어들이지만 그것은 매우 안이한 동기다. 어떤 학생이 나는 정신을 이해하고 싶다 라고 말한다면 나는 정신분석을 배워보라고 제안한다. 신경학은 그것보다 훨씬 더 크다. 신경학은 정신역학처럼 정신을 이해하려고 만들어진 체계가 아니다. 신경학은 엉망이 된 뇌를 연구한다. 또 다른 현명한 신경과 전문의가 일찍이 나에게 말했다. 신장병 전문의나 비뇨기과 전문의가 되고 싶다고? 이봐, 신장? 그것은 소변을 만들지. 누가 신경이나 쓰겠어? 이제 뇌를 생각해 봐. 뇌는 시를 만든다고.“


뇌가 시를 만든다는 말에 급격하게 공감이 된다. 뇌라는 몸이 한 부분이 학문으로 만들어지고 흥미를 줄 수 있는 내용들로 만들어진다니 재미있다. ‘뇌에 갇혀있는 사람들을 구출한다’는 말에는 여러 가지 병에 노출이 돼 있는 사람들에 관한 내용으로 추측되어 진다.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치매나 자페, 우울...이런 모든 것은 뇌 안에서 나오는 것이다.

치매는 특히 걱정스러운 부분이다. 생각할 것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점점 더 빨리 다가오고 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생각이 많아질수록 질병에 노출이 되가는 셈이다.

뇌는 계속해서 연구되고 만들어져 가야 할 부분이다.

이 책은 뇌를 연구하는 신경학과 의사의 경험과 환자에 관한 생각, 케이스를 마치 미드처럼 술술 읽혀지게 다루고 있어 생각보다 어렵지 않고 재미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