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 29 : 1 하인리히 법칙 - 재앙을 예고하는 300번의 징후와 29번의 경고
김민주 지음 / 미래의창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얼마전 있었던 세월호사건은 지금도 진행이 되고 있는 아픔으로 우리들의 마음속에 남아있다. 세월호뿐만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우리나라와 해외를 넘나들면서 재앙과 큰 사건사고들은 너무나 많이 일어났고 많은 사람들이 죽었으며 다쳤고 그 주변의 인생이 바뀌었다

이 책은 그런 많은 사고들을 미리 분석해 보고 그 사고들이 일어나기전의 징후와 경고들을 주시하여 미연에 사고를 막자는 내용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첫부분에서 ‘하인리히법칙’이 등장을 한다.

이 법칙은 큰 사고는 우연히 또는 어느 순간 갑작스럽게 발생하지 않고 그 이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속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사소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면밀히 살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잘못된 점을 시정하면 큰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는 법칙이다

저자는 이 법칙의 의미와 그 사례들을 자세하게 설명을 하고 있다.

수치상으로도 부상을 입지 않은 사고 300과 가벼운 부상을 입은 사고 29 다음에 심한 부상을 입는 대형사고 1로 만들어지고 있다고 한다.

대형사고로 이어지기까지 이런 징후들이 있다는데 우리는 왜 잊고 나서 단 한번의 대형사고까지 이어지게 되는 걸까?


2부에서는 선박의 침몰사고들의 사례를 들어 이야기를 하고 있다,

우리들이 익히 알고 있는 영화로도 만들어진 ‘타이타닉’,‘엑손 발데즈’그리고 ‘세월호’....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선박의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지고 인명의 손실도 크다. 더불어 연관된 주변환경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슬픔이나 트라우마도 오래가기 마련이다. 다시금 회복을 하기위해서는 오랜시간이 걸리고 상처의 깊이가 너무나 깊다

                                                                                      3부에서는  위기관리 의 실패와 성공사례를 들어 가면서 비교를 하였고 4부에서는 실패를 발판삼아 어떻게 위기를 극복하고 자산으로 만들어 내는지를 정리해 두고 있다.  사실 실패는 누구나 할 수 있다. 누구나 상처를 입을 수 있고 힘든 시기를 겪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대처 방법이나 위기를 나타내는 경고를 무시하지 않고 관심을 가지고 평소 여러 가지 상황이나 사물을 스쳐지나지 않는 눈을 키워야겠다는 생각도 든다.

특히 나하나쯤 이렇게 어긋나도 되겠지 라는 생각이 늘 큰 사고를 부르는 경우를 우리는 많이 보아왔다. 이젠 정말 버려야 한다.

있는 자원과 있는 힘을 짜내도 미래가 어떻게 될지 우리 후손들에게 어떤 세상을 물려주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니 수고스러움과 힘든 걸 물리치고 늘 관심과 힘을 기울여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눈을 키워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