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두 번째 교과서 x 정우철의 다시 만난 미술 ㅣ 나의 두 번째 교과서
EBS 제작팀 기획, 정우철 지음 / 페이지2(page2) / 2024년 1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나는 몰랐지만 저자는 이미 유명인이었다. 인기 프로그램인 <유 퀴즈 온 더 블록>에 출연했고 EBS 클래스e 시청률 1위를 한 <정우철의 미술 극장>의 진행자로 활동하는 작가다. 이미 미술강연과 도슨트로 유명한 작가. 이 책을 읽어보니 왜 작가가 유명한지 알 것 같았다.
미술에 관심이 없었던 사람이라도, 미술에 관심이 많고 전문적인 내용을 많이 아는 사람이라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읽어두면 교양으로도 예술적인 지식으로도 뽐낼 수 있는 다양하고 재미를 갖춘 책이었다.
특히 이 책에 더 흥미가 있었던 이유는 한 작가의 작품들을 나열식으로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두 명의 비슷한 작가를 함께 소개하면서 비교도 하고 비슷한 점이나 차이점들을 이야기하고 있는 점이었다. 두 명의 작가를 하나의 주제 안에서 만나보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 예를 들어 이중섭과 모딜리아니. 박수근과 고흐, 모네와 르누아르, 클림트와 실레, 모지스와 루소, 젠틸스키와 수잔 발라동 그리고 프리다 칼로, 칸딘스키와 클레, 뭉크와 키르히너, 로댕과 클로델, 다빈치와 미켈란젤로를 함께 짝지워 이야기한다.
언급한 작가들의 작품들을 모두 칼러로 보여주고 작가의 생애를 언급하며 작품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그들의 인생과 묶어서 이야기하고 있다. 화가들의 대표작품들과 그들의 인생, 그리고 그들이 한 말들을 통해 그들이 인생이 사람들에게 주는 교훈이나 그림을 볼 때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매력을 작가 특유의 설명으로 가벼운 듯 무심한 듯 하면서 꼼꼼하게 설명하고 있었다.
내가 가장 인상깊게 읽은 부분은 여성 화가들을 묶어 둔 부분이었다. 젠틸레스키, 수잔 발라동, 프리다 칼로까지 모두들 강렬한 느낌의 화가들이었는데 왜 그런지 알 수 있는 내용이었다. 여성 화가로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 다양한 도전을 했던 그녀들이기에 작품의 세계도 강렬하고 눈길을 끌 수밖에 없었던 것. 이렇게 세 명의 여성 작가는 다른 듯 했지만 비슷하게 자신만의 영역을 만들어간 화가들이었다.
작가가 화가들을 소개하는 방식이 생각보다 재미있기도 하고 기발한 부분도 있어서 좋았다. <나가는 이야기>부분에서는 작가가 화가들의 말이나 그림들에서 느껴지는 걸 자신만의 생각으로 정리해서 독자들에게 풀어놓고 있어 확실한 마무리를 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