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든 하다 보면 뭐가 되긴 해 - 루마니아의 소설가가 된 히키코모리
사이토 뎃초 지음, 이소담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히키코모리다. 그런데 루마니아어 소설가다. 언뜻 조합이 이상하게 느껴지는데 맞는 말이다. 루마니아어도 방안에서 독학해서 익혔다. 교재 2권을 사서 읽었고 영화와 각종 사이트를 다니면서 익혔다. 사실 다른 나라 언어를 익힌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우리는 알고 있다. 게다가 루마니아어라니...대단한 작가다. 새로 익힌 루마니아어로 소설까지 쓰다니 말이다.

 

저자 사이토 뎃초는 대학을 졸업하고는 부모님과 함께 살면서 히키코모리 생활을 하게 되었다. 영화를 너무 좋아했던 저자는 영화를 보고 영화평을 올리고 있었다. 그러다가 우연히 보게 된 루마니아 영화 한 편을 보게 되었고 루마니아어까지 공부하게 되었다. 사실 이 부분이 참 대단한건데..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고자 새로운 언어까지 익히는 저자라니.

 

그리고 만들어진 다양한 루마니아인 친구들. 그런데 놀라운게 수많은 루마니아인 친구들을 sns를 통해 사귀게 되는 게 바로 히키코모리로 살아가던 저자가 한 놀라운 도전이라는 것. 저자는 자신이 열심히 루마니아어를 익히는 방법으로 온라인상이기는 하지만 친구를 만들었고 자신이 궁금한 부분은 열심히 질문해서 알아내었다. 그 과정에서 루마니아 영화 감독을 만나기도 하고 루마니아 소설가와 친구가 되고 자신의 작품을 루마니아 문학 잡지에 싣게 되기까지 했다.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여기서 생각나는 말이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진짜 저자가 모두 만든 일이다.

 

방안에만 있던 히키코모리였지만, 자신만의 단단한 세계를 만들어 가고 있던 셈이었다. 실의에 빠지거나 우울에만 빠져서 지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를 보고 새로운 언어를 익히면서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일들을 찾아나간 용기있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게 대단한 부분인 것 같다.

 

p93

, 루마니아어를 공부하고 루마니아 사람과 교류를 주고 받으면서 내가 배운 것을 말하겠다. 바로 기세로 밀고 나가기.

 

이 문장으로 저자가 어떤 자세로 살아왔는지 알 수 있었다, 히키코모리라고는 하지만. 도전하고 또 적극적으로 실천해보는 열정도 필요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