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읽을 것인가 - '모든 읽기'에 최고의 지침서
고영성 지음 / 스마트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절판


블로그 이웃인 홍춘옥 박사의 서평을 보고 위시리스트에 올렸었다.

유명인도, 전공자도 아닌 사람이 쓴 이런 류의 책을 읽게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래서 어쩌면 구매는 하였으나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책장을 열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매우 알찬 구성에다가 저자의 주장에 상당부문 공감하며 읽었다.

어떻게 읽을 것인가. 저자는 10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누구나 쉽지 않는 독서를 잘 하려면 먼저 독아(讀我) 할 것을 권한다.

내가 모든 문제 해결의 첫걸음은 현황 분석이라고 여기는 것과 비슷하게 들린다.

뇌의 가소성을 믿고, 한계를 두지 말고 일단 책을 들어라.

초심자라면 쉽고, 재밌는 책부터 들어라.

매일매일 조금씩 책읽는 시간을 늘려 나가다 보면 어느새 책읽는 재미에 빠질 것이다.

보통의 성인들이 책을 읽는 방법으로는 다독(多讀)이 제일(?) 이다.

처음부터 책을 잘 읽는 뇌는 없다. 하지만 독서는 뇌를 바꾼다.

독서하는 환경을 만들고, 세이렌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독서 환경에 몸을 묶어라.

계독(系讀)으로 시작하길 권하기도 한다.

남독(濫讀)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창의적 사고를 길러 보자.

창의성은 낯선 것들의 연결이라는 주장에 백퍼 공감하게 된다.

그리고, 남독으로 자신이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고 겸손해짐을 경험하길 추천한다.

※ 남독은 독서대가 넘쳐날 만큼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하는 것을 말함.

하지만 느리게 읽거나(만독慢讀) 특정한 과점을 갖고 보거나(관독觀讀),

재독(再讀)의 이점도 언급한다.

쓰면서 읽고, 소리 내어 읽는 것의 장점에 대해서도 잘 정리해 주고 있다.

사회적 존재로서 관계맺음, 낯선 관점과의 만남이 가능한 독서모임도 추천한다.

소속감 자체가 학습능력을 만든다는 이야기 부분은 매우 흥미롭기도 했다.

난독(難讀) 편은 현대의 디지털, 미디어 환경이 주는 주의력결핍을 다룬다.

이런 환경이 더욱도 현대인을 책과 멀어지게 하는데, 해결방안을 정리하고 있다.

마지막 엄독(奄讀)편은 욕심꾸러기가 배를 채우듯 미어터지도록 책만 읽지 말라 한다.

지혜가 숙성하려면 숙려의 시간, 간이 온전히 배는 시간이 필요하고 말한다.

잠과 적당한 운동과 사색과 명상이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을 지혜로 발효시킨다 말한다.

생각보다 기대보다 많이 훌륭한 책이었다.

일단, 함께 읽하는 동료들에게 추천하고 싶고, 햇살 부장님께 권하고 싶을 만큼.

한편으로는 저자가 관심을 갖는 분야와 내가 관심을 가졌던 분야가 상당부문 겹쳐서

저자가 인용한 많은 책들 중 상당수를 읽어 보았거나 위시리스트에 있었던 것이라

이점도 무척 반갑기도 했다.

하지만 책을 읽고, 짧은 리뷰만 쓸 뿐인 나와 그 읽은 내용들을 잘 발효시켜

근사한 책으로 만들어내는 저자와의 사이에 있는 차이점이 크게 보인다.

책을 읽는데 급급하지 말고, 관독, 재독, 필독에 힘써야겠다.

"뇌는 가소성이 있다. 책을 많이 읽으면 책 읽는 뇌가 되고, 인터넷을 많이 하면 인터넷을 하는 뇌가 된다.

책 읽는 뇌가 언어의 바다 곳곳을 깊숙이 헤엄치며 신비를 경험한다면, 인터넷을 하는 뇌는 바다의 겉만 훑으며 시원한 바람만 즐기고 있을 뿐이다."(p.25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