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뇌는 어떻게 창조하는가 - 인공지능과 뇌과학으로 본 인간의 호기심과 창의성의 기원
다이코쿠 다츠야 지음, 김정환 옮김 / 예문아카이브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가 오늘날까지 문명을 이루며 성장해 온 바탕에는 창조를 담당 하는 뇌의 작용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뇌는 어떤 식으로 창조적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가.

이 책은 인간의 두뇌 활동 중 창조적인 면에 초점을 두고 그 원리와 특성을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으로 풀어내고 있다.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은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서로 보완되는 부분이 많아 인간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줄 수 있을거라고 학계는 내다본다.

본문에 등장하는 이론이나 용어들은 이미 일반 대중에게 알려진 것들이지만 주의를 끄는 낯선 용어도 등장한다.

그 중에 이 책의 키워드라고 할 만한 용어가 ' 흔들림' 인데 이 책의 흐름을 주도하는 핵심 어휘라고 볼 수 있다.

저자는 '흔들림' 은 인간의 창조성을 이끌어내는 원리이자 인간을 인공지능으로부터 차별화시키는 고유의 능력이라고 본다.

이 책에는 점차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는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면서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가 경쟁적이 아닌 상호 협력체로 발전하기를 고대하는 저자의 바램이 담겨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이 갖지 못한 창조적인 영역(미래에는 어떻게 달라질지 모르지만)을 인간이 맡아 개발하고 강화하자는 것이 저자의 뜻인데 그 창조성을 자극하고 유발하는 원리가 '흔들림' 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배움에 대한 욕구는 문제의 대상이 어느 수준이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너무 어려우면 포기하게 되고 그렇다고 너무 쉬우면 흥미를 잃게 되어 어느 쪽이나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가장 적절한 상태가 중간 단계인데 바로 그 지점에서 지적 욕구가 발동되는 그러한 일련의 상태를 저자는 ' 흔들림' 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흔들림'은 창조의 원동력이기에 학습자에게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학습능력을 극대화하는 길이라고 한다.

창조하는 능력은 확산적 사고와 관련이 있는데 수렴적 사고를 하는 인공지능과 달리 인간에게 더 우월한 능력이라 한다.

하지만 저자는 온전한 창조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수렴적 사고를 겸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인간의 확산적 사고와 인공지능의 수렴적 사고를 서로 보안하고 통합한다면 미래에 인간과 인공지능은 서로 상생하는 관계로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과학 서적이지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여졌고 분량도 적어서 읽는데 어려움이 없었지만 조금 쪽수를 늘리더라도 '흔들림' 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나 일상에서 응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했으면 더 좋았을거라는 아쉬움이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많은 부분에서 공감이 가고 인류의 미래를 준비하는젊은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지혜를 제공해 준다


이 서평은 출판사 서평 행사에 참여하여 책을 제공받아 자유로운 환경에서 작성했음을 알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