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꿈 - 제왕학의 진수, 맹자가 전하는 리더의 품격
신정근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세계는 신냉전시대라 부르며 미국과 중국의 군비경쟁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인류는 그동안 전쟁의 참담할 결과를 역사를 통해 목도하였지만 여전히 그 사슬을 끊지 못하고 첨단 살상 무기를 개발하는데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맹자는 전쟁의 원인을 이기적인 마음갖음에서 시작된다고 판단했다.

때문에 평화를 위해서는 선의를 베풀어야함을 강조했다.

'맹자'하면 성선설이 떠오른다. 오늘날 인류의 모습을 보면 인간이 태생적으로 선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갖게 된다. 어쩌면 성악설이 더 합리적인 평가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맹자는 사람이 우물에 빠지는 아이를 구하는 것처럼 근본적으로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는 데에 확신을 갖었다.

아마도 책 제목을 ' 맹자의 꿈' 이라고 한 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잔악한 행동도 서슴치 않고 있지만 그 속에 선한 속성도 있음을 발견하고 그것이 세상에 발현되기를 갈망하는 맹자의 소망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책의 구성은 크게 7장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큰 주제 아래 소제목들이 달려있다.

스토리로 이어지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꼭 앞에서부터 읽어야 필요는 없다. 필요에 따라 마음에 드는 제목을 골라 읽어도 좋을 것 같다.

작가는 맹자의 사상을 당시의 상황전개와 더불어 현시대에 당면한 문제나 일상의 경험들을 접목하여 해설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학창시절에 배웠던 사자성어들의 뜻 깊은 내용들을 다시 음미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맹자의 교훈은 나라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개인과 개인 사이에서도 그의 지론은 빛을 발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응징에 사로잡혀 끊임없는 복수혈전을 불러일으켰다.

작가의 말처럼 나라와 나라, 개인과 개인 사이의 진정한 평화와 행복은 ' 죽음보다 생명을, 독선보다 포용을, 진영보다 보편을, 경쟁보다 공존을 끓어 안을'(p7)때 이루어지리라고 본다.

'거목사이를 걸어가니 내 키가 커졌다' 라는 말이 있다. 맹자의 위대한 뜻을 묵상하며 이 책을 통독하고 나면 아마 넉넉해진 마음과 확장된 의식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서평은 책을 지원받아 주관적 관점에서 자유롭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