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작아지고 싶어 한다 -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인류 행동의 모든 것
브루스 후드 지음, 조은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큰 뇌는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하고 환경에 잘 적응함으로써 지구 행성의 최고 포식자로 등극하게 만든 일등공신이다.

그런데 ' 뇌는 작아지고 싶어 한다' 라고 하니 인지부조화가 생겼다. 저자는 호기심을 일으키는 책 제목으로 독자들을 책으로 유인한다.

현생인류의 조상의 뇌는 선사시대의 인류의 뇌보다 분명히 더 크다고 한다.

그런데 지금 인류의 뇌는 현생인류의 조상의 뇌보다 작아졌다는 것이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류는 진화가 계속되는 동안 뇌도 점점 커져야 정상인데 현생조상이 활동했던 2만전부터는 왜 갑자기 작아졌을까

이 책은 그 이유를 인간이 집단을 형성하고 그 집단에 스스로 길들여지는 과정에서 찾고 있다. 저자는 이를 '자기 가축화' 라고 명명했다.

이런 주장을 보완하기위해 인간이 길들인 30종의 동물들도 야생조상에 비해 뇌의 부피가 10~15% 감소했다고 설명하고 있다(p11)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마다 인간이 사회를 구성하면서 생기는 다양한 사건들이 뇌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후성 유전학적 관점에서 이야기 한다.

인간이 더 많은 사람들과 더 평화롭게 더불어 살아가기 시작하고 거대문명이 탄생하면서 뇌는 다시 줄어들기 시작했다.

인간은 서로 의사소통하고 생각과 지식을 공유하고 상징적인 의례활동에 참여하고 집단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법을 개발하는 등 문화의 발달을 통해 다른 사회적 동물보다 더 발전할 수 있었다 (p66)

이 책에는 충격적인 인간의 심리를 볼 수 있는 유명한 실험들을 소개하고 있으며 왜 인간이 집단의 권위와 그 통제에 길들여질 수 밖에 없는 이유들을 설명한다.

저자는 에필로그에서 개인의 행동이 집단에 의해 좌우되고 개인의 고유한 정체성과 사생활이 위협받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세계를 하나의 집단으로 생각하면 기후변화나 전염병등 인류에게 닥친 많은 문제들을 잘 대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긍정적인 평가로 책을 마무리 한다.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