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하는 뇌 -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단 하나, 상상에 관한 안내서
애덤 지먼 지음, 이은경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실은 뇌가 만든 제어된 환각이다.

당신이 보는 것은 현실인가, 환상인가?

살면서 한번쯤은 생각해 본 질문이 책 소개로 되어있다.

우리는 과거보다 미래에 대해 더 자주 몽상한다.

생각해보니 맞다. 과거를 몽상한다는것은 사실 살면서 많지 않다.

하지만 미래에 대한 몽상은 자주 어쩌면 매일하고 산다.

우리는 때때로 몽상을 하는걸 인지하면서 그 상태를 지속할지 여부를 스스로 선택할때도 있다.

자기 자신을 향애 있던 마음이 어느 순간부터는 누군가의 아픔에 먼저 반응하게 되는 상태, 그게 바로 사랑이다.

사랑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생각은 살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하게 되는 일이다. 누군가의 아픔에 먼저반응하게 되는 상태,

그리고 사랑이 깊어질수록 알게되는건 누군가의 고통을 대신할수 없다. 쇼펜하우어는 이런한 상태를 연민이라 칭하였는데.

그저 단순히 안쓰러운 감정이 아니라 그의 고통을 함께 하려는 의지의 움직이라한다. 그렇다면 그런것이 사랑이면 진짜 이 세상에 사랑이라는 단어를 사용할수있는건 부모자식만이 가능한것인가에 대한 의문점이 생기기도한다.

인간은 스스로를 자각하면서 소외감을 느끼지만, 동시에 그 생각과 감정을 다른 이와 나누며 연결되고 하나가된다.

나의 소외감은 어쩌면 스스로 결정한일 이지만. 그 소외감을 다른이에게 나누며 그 소외감에서 오는 고통을 벗어나기도 하고

그 쇠외감을 스스로 극복하기위해 그 시간에 더 창조적인 생각과 몰입을 통해 우리는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 외치기도 한다.

이책을 보면서 스스로를 더 깊이 이해하는 시간은 상상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때 가능하다는것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