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라진 아내가 차려 준 밥상 ㅣ 매드앤미러 2
구한나리.신진오 지음 / 텍스티(TXTY) / 2024년 7월
평점 :
같은 한줄, 다른 두 편의 이야기.
매드앤미러 프로젝트.
'한문장이 각기 다른 작가를 만날 때 어떻게 달라질까?라는 재미있는 상상세서
시작한 텍스티의 프로젝트의 두번째 이야기 매드 앤 미러!
구한나리 작가의 <삼인상>과 신진오 작가의 <매미가 울때>
공통한줄 : '행복한 신혼. 죽음에서 돌아온 남편이 문득 낯설게 느껴진다.'
구한나리 작가의 <삼인상>
신국과 월국의 경계에 있는 작은 마을, 묏맡골!
마을밖에 사람들은 이곳의 존재를 모른다.
묏맡골에는 '삼인상'이라는 독특한 풍습이 있는데 혼자서 밥을 먹을때는 상을 차리면 안되고,
두 사람 이상의 밥을 먹을때는 반드시 상을 차려야하는 삼인상의 그릇을 함께 올려야한다.
그 이유는 그릇의 주인인 '삼인'이 집을 살펴주기 때문이다.
그곳에는 제를 주관하는 당골이 있는데 현은 당골의 셋째 딸이다.
현은 태어날 때부터 영혼을 볼 줄 알아서 마을 사람들은 그녀를 후대 당골로 여겼다.
하지만 당골의 배우자는 후대 당골의 운명을 가진 아이가 태어나면
1년안에 사망한다. 하지만 나는 현을 향한 마음을 꺽을수없다.
결국 두사람은 결혼을 하지만 뮛맡골에는 변고가 생긴다.
연이은 변고에 당골과 현 그리고 남편이 나에게 까지 마을 사람들의 차가운 시선을 사라지지 않는다.
신진오 <매미가 울 때>
아내와 여행을 가던중 교통사고로 차가 뒤집혀 버리고
겨우 정신을 차려 아내인 승희를 구하지만 아내의 머리에서는 계속 피가 흐른다.
하지만 사고의 충격을 두 사람의 핸드폰이 모두 안되고 짙은 회색빛의 안개가
겉힐 줄 모르고 불안감은 더 커진다.
아내와 천천히 걸어가던중 마주친 사람 아니 사람이 아닐지도 모른다.
속옷조차 걸치지 않은 놈으로 얼굴에는 버섯이 피어져 있다.
한참을 도망치다가 발견한 낡은 절에는 스님과 사람들이 있었다.
그곳에 있는 사람들도 몸에 버섯이 피어난 괴물을 보고 놀라서 도망쳐온 사람들이다.
그곳에 있는 스님이 하는 말은 우리가 있는 이곳은 피락이면 이곳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그 괴물처럼 변한다고 말한다.
현실로 돌아갈수있는 문이 하나 있는데, 그 문을 통과할수 있는건 한사람뿐이다.
두 이야기에서는 부부의 사랑을 소재로 하고있지만 둘의 사랑에만 국한되지 않고
더 나아가 인간을 향한 사랑을 이야기하고있다.
인간이 인간을 사랑하지 않고 인간다움을 잃었을때 우리는 어떠한 일까지
할수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면서 어떻게 살아야할지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