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의 조선 - 시대의 틈에서 ‘나’로 존재했던 52명의 여자들
이숙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의 틈에서 '나'로 존재했던 52명의 여자들

여자라는 이유로 자신은 없었던 조선의 여성들

밑바닥 여종에서 높은 왕비까지

10세 소녀에서 여든 할머니까지.....

그녀들의 삶을 엿볼수있는 <또 하나의 조선>

1부 조선을 살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낸 물론 그녀들이 낼려고 해서 전해진건 아니겠지만

일례로 경북지역에서 칠십여 생을 살다 간 신천강씨는 딸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양반가의 여성으로 살면서 힘든었던 일들을 생생하게 전해주고있다.

그녀의 남편이 다른 살림을 차려서 힘든 일들을 딸에게 보낸 안부편지를 통해

지금으로 말하자면 한을 토로했던거 같다.

2부 성녀와 마녀의 프레임을 넘어편을 보면

우리에게도 친숙한 이름들이 많이 보인다.

허난설헌, 황진이, 대장금, 논개, 장희빈 등이다.

그녀들의 삶을 보면 어둠과 빛이 존재하는걸 볼수있는데

저자는 폐비윤씨로 알려진 제헌왕후가 '왕비'에서 '악녀'가 되는데 걸린 고작 7개월의

시간을 쫒아가며 구성된 이야기가 아주 흥미롭다.

그녀들이 보여준 시대의 한계와 운명에 도전하는 모습은 울림을준다.

그녀들은 아무래도 시대를 잘못 태어난거 같다.

3부 닫힌 운명에 균열을 내다편에서는

열녀만들기 프로젝트, 배천조씨이야기를 보면 사실 열녀라는것이

자신의 뜻보다는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게 아닌가 싶을정도이다

이런 이야기들은 배천조씨의 이야기뿐 아니라 영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소재인듯싶다.

4부 시대의 틈에서 '나'를 꽃피우다편에서는

밥하고 옷만들던 여자들의 일을 지식으로 체계화 시킨 이빙허각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다가온다.

책에서는 52명의 각기 다른 여성의 삶을 그려내고있는데

그녀들이 조선의 여성이였다는 점을 빼면 모두 다른 삶을 살아내었고

욕망과 행동이 다를수밖에 없던 그녀들에게

지금 이시대를 살고있는 우리들은 또 다른 미래를 고민하게된다.

지금 내가 여성이라서가 아니라 사람으로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