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 이동(설)"
러셀 뱅크스 작가의 1985년작이고, 저평가된 중견작가의 작품에 수여되는 "더스 패서스"상의 수상작이다.
대륙이 이동한다는 거창한 제목으로 보면 딱 한해 뒤 1986년 사라마구 "돌뗏목"이 연상된다.
돌똇목은 지금 난리도 아닌 이베리아 반도가 대서양을 정처없이 떠돌고, 그 불안한 대지에 서성이는 사람들의
'소소한' 이야기와 감상을 다루었다면,
이 책은 사람들이 딛고 선 대륙, 그 자체의 움직임, 고난을 그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내용 중 말을 빌려쓰면 good-natural passivity로 keep moving.
대륙이라고 했지만, 등장인물은 어찌나 초라하고 안쓰러운지
또 다시 지금은 난리도 아닌 뉴욕 북부 한지에서 배고픈 줄 모를 기름보일러 수리공이 허기진 마음에 남으로 남으로 사회의 계단의 아래로 아래로 떨어지고, 먹고 죽을 쥐약도 없이 너무 허기져 배고픈지도 모르는 사람이, 기댈 것 없는 양심에 위로 위로 무작정, 아이티 벽촌 크레올의 환상에서 서구인의 현실 속으로 풍덩 뛰어드는 고달픈 이야기다.
두 주요인물의 구조와 서술은 생판 남처럼 다르다. 북미 남성은 관조적 사변을 일삼는 모더니즘이라면, 남미는 환상과 마술이 범벅이 된 사실주의 이런 식이다. 마지막은 전지적 작가가 등장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이 상황에, 작은 바람으로
Go, my book, and destroy the world as it is.로 끝을 맺으니, 두 인물의 하다 만, 할 생각도 없던
대륙종단, 이동이 얼마나 쓰라릴지는-여튼, 이 작가는 긴 "사회고발성" 사설에 사람 눈을 못 떼게 잡는 실력이 탁월하다는 말로 에둘러본다.
충격적인 작금의 현실에도 충격요법으로 꽤나 쎄게 치고 들어오기 때문에 마음 약한 사람은 가벼이 들 책은 아니나,
건너뛰어서도 아니 되는 책이 아닐까 한다.
도스 패서스 작가의 '맨해튼 트랜스퍼"는 사실, 개인적인 이유로 조금 실망스러웠는데,
이 작가의 이름을 딴 "도스 패서스"상 수상작가들, 그러니까 아쉬운 아차상 작가들에게 주는 상은 꽤나 괜찮은 작가들이 많이 포진해 있다. 몇몇은 이후 이름이 나 바이러스 퍼지듯 필명을 기하급수적으로 휘날리며 퓰리처니, 부커 상이니 등을 받기도 하고, 그대로 잔잔히 묻히기도 하고.
그 중에 골라 읽었던 작품,
![](https://image.aladin.co.kr/product/529/13/cover150/0812973992_1.jpg)
(국내명 "거대한 지구를 돌려라" 칼럼 매켄"-역시나 절판)
-은 강팍해진 마음에 가벼운 물결처럼 어루만져 주는 짭짤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