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en Lives (Paperback)
Graciliano Ramos / Univ of Texas Pr / 196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라질에서 한갓진 연애사를 쫓다, 레바논, 터키, 이태리 높은 성에 사는 성주님을 알현하였다가 다시 

브라질 중에서 북동부 가장 메마르고, 궁핍한 벽촌, 물가난을 머리에 이고, 벗은 발의 굳은 살이 샌달보다 더 편한 메마른 맨땅으로 내려왔습니다. 언어보다 의성어가 더 살가운 깡촌의 무지렁이 가족, 빌린 땅에 소를 치고 살다 가뭄탓에 피한 길에 오르는 모습, 그 여행 끝에 뼈가죽만 남은 이들로 시작을 하는지라, 궁상스러운 삶은 입이 바싹 들어가고, 손바닥이 절로 얼얼한 느낌은 마지막 장까지 가시지 않지요. 그러니까 향토성 짙은 향토문학에 서정성은 탈수기로 탈탈 털어버렸습니다. 

한 여름 불볕 더위에, 앞이마와 등에 땀을 뻘뻘 흘려가며 마른 입으로 혀를 끌끌하고, 부치던 부채로 무릎척척 치고 저런저런 허이고저이고-거리면서 읽기 딱 좋습니다. 


그라실리아누 하무스/롸무스 Graciliano Ramos,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브라질 모더니스트 작가라고 합니다. 

북동부 벽촌에서 상점주인, 시장, 늦깎이 작가로 그리 많은 작품을 남기지는 않았고, 공산당 활동으로 감옥살이도 하였으니 

작가의 대표작 '메마른 삶들'은 모더니즘보다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입니다. 포크너 상을 받았지만, 비견되는 포크너보다 스타인벡에 가깝지요.

동화도 몇 편 쓴 작가인탓인지, 여기는 글이 쉽고 중간에 삽화까지 곁들여져 있어 브라질에서 중고등학교 필수독서목록에 들어가지 않을까하는 짐작을 해보았습니다. 제제의 라임나무와 망고거리와 브루클린 사과나무가 낯설지 않게 허허벌판 외로운 대추나무와 이웃하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 중에 국내번역작이 대학잡지에 실린 게 있어 무단으로 올려봅니다. 이건 좀 모더니즘 냄새가 풀풀 납니다. 


병원의 시계 

(어색한 번역투가 나지만, 일독을 권하며-) 

http://s-space.snu.ac.kr/handle/10371/77313



많지 않은 목록 중에 두번째로 유명한 작품이 '상 베르나르두' 동일 이름의 목장, 어느 궁핍한 산간벽지, 자수성가 걸걸한 입담의 싸나이가 일인칭 시점으로 재치있는 말발로 재미나게 풀어간 이야기라고 합니다. 이건 조만간(백년내로) 국내 번역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 이유는 딱히 없고, 그냥 그럴 것 같다는 느낌상 느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