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 마음의 치유와 성장으로 가는 길
 권석만 지음 / 학지사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상담 이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개론서적으로 탁월합니다.
언뜻 들었지만 잘 알지 못했던 상담이론을 이책을 읽고 나서 알게되었어요.
상담이론이 저마다 주장하는 바는 다르지만 한가지 공통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것은 현재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 (정신분석) 아동의 마음 속에 내면화된 사회적 규범과 부모의 가치관을 초자아라고 한다. - P64
(행동치료) 발표불안을 지닌 내담자의 경우, 발표불안을 제거하려고 애쓰기보다 발표불안을 자연스러운 것으로 수용하고 비평가적으로 관찰하게 한다. 불안을 부적절한 것으로 생각하여 제거하려는 노력이 오히려 불안을 지속시키거나 증폭시키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불안해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치 있게 여기는 활동을 행하는 것이다. - P158
Ellis는 내담자가 단순히 어린 시절에 자신의 무가치성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주입받았기 때문이 아니라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역기능적인 요구를 스스로 구축하고 이런한 당위적 명령을 스스로에게 적극적으로 재주입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 P201
Rogers에 따르면, 심리적 부적응의 핵심은 유기체의 전체 경험과 자기개념의 불일치이다. (…)자기와 경험의 불일치가 클수록 자기구조는 스스로를 유지하기 위해서 더욱 경직되게 구조화한다. (…)예컨데, 선한 사람으로 자신을 규정하는 개인은 분노나 질투와 같은 정서적 경험을 자각하지 못하도록 합리화, 투사, 부정과 같은 방어기제를 통해 자기경험을 왜곡할 수 있다. - P285
(실존) 인간이 물리적 세계와의 관계에서 추구하는 것은 안전이다. 그러나 안전이 단지 일시적일 뿐이라는 것을 깨달음을 통해서 인간 실존의 한계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것은 삶의 긴장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 P321
(실존) ① 오직 나만이 내가 만들어낸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 ② 변화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 아니다. ③ 내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나는 변화해야 한다. ④ 나는 변화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 - P331
(게슈탈트) 인간의 지각은 어떤 대상의 형태를 부분으로 나누어 이해하기보다 한번에 전체적으로 파악한다. - P347
Perls에 따르면, 불안은 행동으로 옮겨질 수 없는 흥분 또는 억제된 흥분 에너지다. 즉, 개인이 어떤 행동을 하고 싶은 욕구나 감정을 느낄 때 흥분 에너지가 동원되지만, 흥분을 행동으로 옮겼을 때 초래되는 좌절상황을 예상해서 흥분을 억제하게 되는 데, 그때 느끼는 감정이 불안이라는 것이다. - P359
접촉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일차적 알아차림, 즉 현재 가장 중요한 감정이나 체험을 상대방에게 표현해야 한다. - P363
Glasser의 관점에서 보면, 부정적인 사건을 겪은 직후에 발생하는 우울한 감정을 "나는 우울해."라고 표현하기보다 "나는 우울해하기를 선택했어."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 P390
치료자가 경험과 확신을 지니고 제시하는 설명과 해석을 내담자가 신뢰할 만한 것으로 받아들인다면, 그 내용이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 P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