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신의 역사 - 비너스, 미와 사랑 그리고 욕망으로 세상을 지배하다
베터니 휴즈 지음, 성소희 옮김 / 미래의창 / 2021년 8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스/로마 신화는 우리에게 꽤나 친숙하며 그중에서도 미의 여신인 아프로디테-비너스는 그 어떤 신보다도 유명할 것이다. 노래 이름에도 브랜드명에도 등장하는 이 여신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을까? 부제를 보고서야 미의 여신의 역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실 신화 속 많은 여신들의 소개일 것이라는 기대로 책을 읽어 보고 싶었고 #미래의창 출판사의 지원을 받아서 읽을 수 있게 되었다.
가이아가 아들들을 시켜 우라노스의 성기를 잘라 바다 속에 던져진 음경과 고환으로부터 탄생한 '무시무시하고도 사랑스러운 처녀'가 바로 여신 아프로디테다. 그녀의 발이 닿는 곳에는 푸른 새싹이 돋아나고 꽃이 피었다. 폭력과 고통 속에서 태어난 이 숭고한 여신은 인간의 사랑을 관장하는 여신이면서도 생명의 순환과 생명 그 자체를 상징하는 신이 되었다.
여신의 의미는 문명의 역사에 따라 달라졌다. 아프로디테는 생명을 관장하고 했고 때론 죽음 예고하기도 했다. 아름답기만 한 존재는 살벌하고 끔찍한 신이 되었다. 역병이 돌던 시기의 아프로디테는 희망 그 자체였고 고대 아테네에서는 사회를 통합시키는 결혼과 임신을 돕는 신이었다. 하지만 매춘을 상징하는 음탕한 여신으로 추락하기도 했으며 탐욕스러운 야망과 욕망의 상징이기도 했다.
기독교 문화가 맹위를 떨치면서 기독교의 노여움의 대상이었으며 수치를 모르는 여신이었을 뿐이었다. 하지만 4천년이나 된 이 여신은 파멸되지 않았다. 아프로디테는 동정녀 마리아의 모습으로 재탄생하였다. 르네상스를 지나면서 승리의 비너스가 되었고, 정욕과 갈망이라는 어두운 충동을 정복하는 아름다움과 사랑의 상징이 되었다. 하지만 근대에 이르러서는 흥행 보증 수표로 숭고함을 잃어버린 착취의 중개인이 되어버린다. 여신은 남성을 자극하는 대상이 되고 식민 지배를 조장하는 대상으로 이용당했다.
아프로디테-비너스는 지금의 시대에도 여전히 살아있다. 세계적인 아이콘이기도 하고 브랜드가 되기도 한다. 비너스를 상징하는 ♀ 는 아프로디테의 손거울이나 목걸이, 혹은 여성의 성기를 본뜬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원래는 가로선이 없었으나 근대 초 기독교에서 여신의 상징이 십자가와 더 닮아 보이도록 가로선을 추가했다. ) 그리고 정신분석(psycho-analysis)이라는 용어를 만든 프로이트는 아프로디테의 아들, 에로스의 아내인 프시케(Psyche)의 이름을 따서 만들었다. 비너스는 레이디 가가나 비욘세도 영감을 받았다.
여신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아주 쉽게 변하는 문화적 요소다. 절대적 신이었던 여신은 희망의 아이콘이 되기도 음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현대에 이러서는 미의 기준이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에로티시즘, 욕망, 욕구 등을 이야기 할 때에도 이 여신을 기억한다. 이제는 섹슈얼리티의 힘과 잠재력을 고취하는데 사용된다. 아프로디테는 여전히 불멸의 존재인 듯하다.
아프로디테-비너스라고 하면 아름다움의 여신, 보면 바로 반해버리는 신 등의 사랑과 미의 여신으로 알고 있었다. 우리는 사랑이라는 단어와 함께 여신을 기억 내 내고 사랑의 표현에는 붉은 장미(아프로디테의 꽃)를 사용한다. 하지만 4천 년이나 이어져 온 이 여신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만큼 굴곡지며 천당과 지옥을 오가는 처지에 놓여 있었다는 것을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아프로디테는 문명의 탄생과 함께 현재까지 인류와 함께 하고 있다. 이 여신의 역사는 곧 인간의 역사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