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회의 628호 : 2025.03.20 - #계간 <비욘드 로컬> ① 시작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지음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25년 3월
평점 :
기획회의는 매번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빠지지 않는 테마가 있는데, 바로 <로컬>이라는 키워드다.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된 우리나라에서 지방을 살리려 노력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나누는 챕터다.
일본의 마스이 보고서 이후 일본과 우리나라는 지방소멸이라는 키워드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무현 대통령 시절 세종 이전이라는 기회가 있었지만 헌재의 알 수 없는 위헌 판결로 그 기회를 잃어버렸다. 기업이 지방으로 가는 건 많은 리스크가 있지만 공기업의 지방 분권은 정부가 할 수 있는 가장 큰 일인데 지금도 아쉬움이 있다.
그런 안타까움 속에서도 지방으로 향하는 이들이 있다. 그런 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특집 기획회의 629호는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의 지원으로 읽어볼 수 있었다.
삶의 터전이 수도권으로 집중되고 사람도 그곳으로 향하다 보니 열심히 일해도 남는 것이 없는 사회가 되어 간다. 양극화는 더욱 심해지고 지방은 인구 이탈로 공실이 늘어남을 늘어 유령화 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인구가 정체되고 있는지 살 집은 부족한 세상이다. 이를 극복하고자 지방을 살리고자 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도시가 살아나려면 결국 생산 능력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관광이다.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를 당장 지방으로 이주시킬 매리트 있는 뭔가가 없다. 그래서 양양이나 강릉처럼 테마를 가지고 주말 인구를 품으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제주는 아주 오랜 시간 그 일을 해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노력이 현지의 생태계와 융화되지 못하면 한때 반짝하고 마는 유행이 되고 만다. <로컬>을 지향하지만 오랜 시간 유지하기 어려움 점이 바로 그곳이 있다. 막상 도시를 떠나 왔지만 로컬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그래서 이번 호에 소개되는 많은 노력들은 소중하다.
그럼에도 여전히 로컬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치적으로도 지방 메가 시티 건설이라는 화두가 있었지만 전혀 진행되지 않는 점도 문제다. 민간의 노력으로 어디까지 할 수 있을지 개인적으로는 관망 정도밖에 할 수 없다. 돈벌이가 되는 곳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조금 다행인 것이 제조업처럼 공간적 제약이 없이 일을 할 수 있는 직업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 로컬에서는 워케이션이 주목받는다. 일하러 떠나는 여행이랄까. 팍팍한 도심을 떠나 산 속이나 바다로 일하러 떠나는 여행이다. 기존에는 예술가 위주였다면 이제는 그 영역이 조금 넓어지는 것 같다.
이 시리지는 기획회의가 밀고 있는 주제이기도 하고 이번처럼 특집으로 계속 다룰 것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소개될 이야기들이 기대된다. 계속해서 지방에 살고 싶은 나에게 좋은 해결책을 제시해 줄지도 모를 일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