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회의 641호 : 2025.10.05 - #출판 실무 AI 활용 현황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지음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25년 9월
평점 :
AI는 이제 실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이제 AI를 쓰지 않는다는 것은 속도전에 밀린다는 얘기밖에 되지 않는다. 동시에 AI는 꽤나 많은 도전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림을 제대로 배우지 않았어도 편집을 해보지 않았어도 뭔가 그럴듯하게 만들어준다. 모든 업무의 진입 장벽이 낮아진 것이다.
입문자는 AI를 통해 쉽게 정보를 얻고 배울 수 있고 전문가는 일일이 설명하며 맡겨야 했던 반복작업들을 AI에게 간단히 맡길 수 있게 되었다. 혼자서 많은 일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결국 1인이 할 수 있는 일의 범위가 비약적으로 늘어나면서 ‘1인 생태계’라고 말할 수 있는 작업들도 늘어나고 있다. 협업은 사람과 하는 것이 아니라 AI와 하게 된다. 결국 사람은 리더가 되고 기획자가 된다. 어시스턴스로도 충분한 AI가 출판계에서는 어떻게 이용될까?
AI를 이용한 교정과 번역은 쉽지 않다. 문맥의 자연스러움과 연관성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직은 더 발전해야 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여러 작업에서 AI는 무척 많은 일을 해내고 있다.
기획안 작성, 베스트셀러 분석, 회의록 정리는 다른 산업분야에서도 이미 사용하고 있다. 저자와 소통하고 있는 메일을 학습시켜 행여 놓치고 있는 작가의 생각을 정리해 볼 수 있다. 양식을 학습해 두면 손쉽게 기획서를 만들 수 있기도 하다. 베스트셀러는 데이터만 연결하면 쉽게 정리할 수 있으며 관련 트렌드를 이미지나 영상화하는 것 또한 AI는 쉽게 해낸다.
결국 AI는 단순 반복 업무를 없애줄 것이며 인간은 보다 높은 차원의 업무를 해내야 할 것이다. 출판업이라는 것은 인간과 인간이라는 커넥션을 이해하고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라는 존재는 여전히 중요한 것이다.
마케팅의 측면을 들여다보면 AI의 역할은 보다 중요해진다. 특히 1인 출판사의 경우 혼자서 다 해낼 수 없던 일들을 할 수 있게 된다. 생성형 AI는 홍보 영상과 이미지 그리고 음성까지 만들어낼 수 있다. 시간을 내어 일일이 작업해야 하는 대신 AI에 시켜만 두면 결과를 내어 준다. 방향만 고민하면 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