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회의 639호 : 2025.09.05 - #출판/공간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지음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은 이제 거의 대부분의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공간이 주는 의미에서 단순한 "위치"는 덜 중요하게 되었다(부동산 얘기가 아니다). 사무실이 없는 회사라는 말이 유행했다. 팬데믹을 겪으며 재택근무가 자연스러워졌다. 공간을 할애하는 비용도 출퇴근의 혼잡함도 벗어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출판사의 공간들은 어떨까?

  대형 출판사의 경우에는 번듯한 건물이나 사무실이 있을 거다. 많은 부서를 거느리고 있을 것이고 유기적으로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직접 만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많은 영세한 출판사나 일인 출판사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집이 곧 사무실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유 오피스도 있다. 다른 상품을 팔거나 개발을 해야 하는 회사들과는 다르지만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고 같은 업종의 희비를 털어놓을 수도 있기 때문에 좋을 수 있다. 작가들의 경우에도 문학관처럼 작가들만 모인 공간이 있다. 그들만이 나눌 수 있는 무언가가 분명 있을 것이다.

  각자에 집에서 일을 하는 출판사가 가장 신선했다. 미팅이 필요할 때는 팀원들이 가보고 싶었던 핫플레이스에서 진행하는 것도 좋은 것 같았다. 번듯한 건물이나 사무실도 매일 가면 무덤덤해지는 데 매번 여러 장소에서 만날 수 있다니 이런 스타일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천국이겠구나 싶었다.

  공간이 없는 기업이 존재하고 직장 없이 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각자가 능력 위주로 각자도생 하는 것이 가장 최적일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공간이 주는 의미는 분명 있고 그 각각의 공간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방법은 그들만의 철학이 있다. 책을 만드는 이들의 생각을 읽어 본다는 것은 또 다른 재미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