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조립체에 바치는 찬가 수도승과 로봇 시리즈 1
베키 체임버스 지음, 이나경 옮김 / 황금가지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편의 시 처럼 운율넘치는 문장에 덱스와 함께 숲속을 거닐고 별을 바라보며 야영하는듯한 편안하고 희망찬 내용이지만, 한문장 한문장에 담긴 작가의 성찰을 가볍게 날려 보낼 수 없기에 책을 넘기는 손길이 무거워지고 언어가 입가에서 맴도는 책이다.

책에서 '당신이 방금 걸어온 그 짧은 걸음 아래에서 얼마나 많은 작은 생물들의 죽음이 있었는지 아느냐'라고 말 하듯이 인간과 자연, 생물과 비생물이 공존하기 위해 우리가 얼마나 수많은 인간중심적 편견과 아집, 탐욕을 극복해야 할 지 생각하게 한다.

솔라펑크란 장르가 생소하긴 한데 희망적인 작품의 분위기만 제외한다면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다룬 명작 소설 '더 로드'가 떠올랐다. 비록 수도사 덱스의 여정이 물질적 결핍과 생존의 위기에서 비롯되지는 않았지만 배고픔 못지 않은 영적 결핍의 고통과 정신적 고갈의 위기에서 탈출하려는 몸부림이기에, 그의 여행은 '더 로드'의 생존을 위한 여정못지 않게 엄숙하면서도 숭고하다.

책을 읽어나가면서 모스캡의 편견없는 태도와 삶의 자세?에 묘하게 힐링이 됐다. '죽음'과 '순환'을 받아들이는(야생조립체라는 제목은 다른 로봇이 사멸하면 그 부품의 잔재가 다른 로봇에게 계승되어 공장이 아닌 자연에서 조립되는 로봇을 뜻한다) 이 철학적 로봇은 '아프니까 청춘이다'식의 위로가 아니라 '나는 당신처럼 아픔을 느끼진 못하지만 당신이 아파하고 있다는건 알 수 있습니다'식의 묘한 로봇적 공감?을 해준다.

감상평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로봇 모스캡의 묘한 위로에 이기적인 떼쟁이 덱스가 변해가는 모습을 함께 감상해 보시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