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린 M의 성생활
카트린 밀레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중학교 고등학교 다닐 때 처음으로 빨간책을 읽었을 때
손에 잡힐 것 같은 그 흥분과 긴장을 기억한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나서는 읽을 기회도 사라졌고
읽어도 맨숭맨숭했다. 종종 모사이트에 올라오는 소설을
읽긴 했지만 그것도 요즘에는 수준 이하의 글들이 많아지고
신상명세를 죄다 입력해야 볼 수 있게 되면서 끊어버렸다.

카트린 밀레의 이 글은 고도의 집중을 요한다. 조금만 정신을
놓으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따라가기가 어렵다.
그나마 가장 잘 넘어가는 부분이 섹스행위를 묘사한 부분인데
그마저도 지나치게 분석적이라서 흥(?)을 느끼긴 어렵다.

프랑스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출간됐고 베스트셀러가 됐다는데
우리나라에선 아마도 별로였을 거 같다. 사생활을 까발리면서
이렇게 냉정하고 차가운 시선으로 분석하는 책, 한국인 정서에는
어울리지 않는다. 이 책은 도덕적 판단에 좌우되지 않는다.
그냥 존재 그대로 있는 그대로다. 이런 책도 나온다는 건 참
뭐라고 해야 하나. 별 걸 다 책으로 만든다는 생각까지 든다.

독자가 이 책을 집게 된다면 그건 분명 관음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겠고 책 자체도 그것을 염두에 두고 씌어졌을 것이다.
나도 그런 의도에서 읽은 것이다. 근데 재미도 없고 이런 책을
무엇한다고 썼는지 모르겠다. 이 글을 쓴 여자는 지금 나이가
거진 60살은 됐을 텐데 자기의 성 편력을 이렇게 공개적으로
적어서 도대체 무엇을 얻고자 한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자기 자신의 모습을 기억해두고자 한 의도라면 그냥 일기장에
적어두고 혼자 봤으면 됐을 텐데. 굳이 책으로 내서 여러 사람
한테 읽히게 했다는 건 다분히 정치적인 의도라고 볼 수밖에
없다. '자기'라는 사람을 다른 사람한테 인지시키고 싶다는
일종의 자기확장self-enlargement욕이겠다. 그렇다면 난
그 프랑스 할머니의 자기확장욕에 빠져서 4-5시간이나 허당으로
날려버린 셈이다.

이 책이 주위에서 항상 굴러다녔는데도 별로 읽고 싶지 않았는데
읽게 된 건 김우창의 대화집 <행동과 사유>에서 언급되고 난
뒤부터다. 쉽게 보기 힘든 장르의 책이긴 하지만 별로 권하고 싶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