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읽은 책과 그림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지음, 김지선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씨앗을 뿌리는 사람에서 <책마을 헤이온와이>를 시작으로 내고 있는 '책'에 대한 재미있는 책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이다. 라니츠키는 독일에서 방영했던(지금도 하고 있는지는 모르겠다.) <4중주>라는 서평 프로그램의 명해설자이다. '4중주'라는 이름처럼 4명의 패널들이 나와서 진행하는 심야 독서프로그램이고 제법 영향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독일에서 갓 들어온 한 분의 얘기를 듣자하니 그런 프로가 있다는 건 알지만 그 프로그램 말고도 서평 프로그램이 무척 많고 <4중주>라는 프로그램은 그다지 유명하지 않다고 한다. 독일의 독서 풍경이 부럽기만 하다.

여하간에 이 책은 주로 독일 작가들에 대부분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셰익스피어나 예외적으로는 바그너 같은 음악가도 있긴 하지만. 대다수 작가들의 이름은 처음 들어보는 이름들이라서 그 사람들의 작품을 얘기할 때도 솔직히 동감하거나 반대할 수 없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이 책으로 독일문학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수 있었고 앞으론 좀더 관심을 가지고 독일 문학을 보게 될 거라는 것은 자명하다.

읽고 나서 기억나는 것은 작가들 대부분이 유태인이라는 것. 저자도 유태인이라는 것. 그것이 그 이유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그리고 문학에 대한 저자의 간략하고도 명쾌한 사유.

"문학은 재미있어야 하고 비평은 명료해야만 한다."

라는 언급은 인상적이다. 비평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지만 뭐니뭐니 해도 비평의 역할이라면 옥석을 추려내고 사람들에게 책을 읽고 싶도록 권하는 일이 중심이 되어야 할 것이다. 비평을 위한 비평은 재미도 없고 의미도 없다. 이 라니츠키는 독설로 유명하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그런 비평가가 살아남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잠시 해봤다.

이름 있는 서평가들이 제법 있지만 그들이 온전하게 자신의 생각을 드러낼 공간이나 그를 받아들일 만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가 하면 또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한국도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고 풍토가 조성되면(과연 그럴 날이 올 것인가) 이런저런 문제를 일으키는 비평가가 나오는 것도 재미있는 일일 것 같다. 싸움이란 건 하는 당사자들은 성가실지 모르나 그 구경꾼들에게는 얼마나 재미나는 일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