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진실에 대한 이야기의 이야기 - 헤로도토스의 <역사>에서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문명의 붕괴>에 이르기까지
앤 커소이스.존 도커 지음, 김민수 옮김 / 작가정신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책 제목만 보면 역사에 대한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기록한 책쯤으로 보인다.사실 그래서 읽기 시작했다.그렇지만 그렇게 가볍게 읽히는 책은 아니었다. 오래전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를 읽고 난 뒤 정말 오랜만에 역사학에 대한 깊이있는, 생각해 볼만한 책을 읽었다. 

 앤 커소이스와 존 도커가 쓴 원제목인 <Is History Fiction?>이 이 책의 내용의 전반적인 느낌을 전달하는 데 적절할 듯 하다.두 저자는 우리가 역사를 배우면서 처음 듣게 되는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의 역사서술의 문제를 들기 시작하면서 이 질문을 한다. 그리고 우리에게도 <총,균,쇠>의 저자로 익숙한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문명의 붕괴>까지 지금까지의 주요 역사서와 역사가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이 두명의 저자가 들려주는 역사는 허구인가? 객관적 사실인가?하는 문제는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많은 사람들이 보다 깊이있게 역사를 공부하고 있는 요즘에 필요한 담론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지금까지 배운 역사는 '있었던 그대로의' 과학적이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씌여진 것이었다.그래서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되도록이면 상상을 배제한 사료중심의 역사를 말해왔던 것이 사실이고, 역사에 관한 책을 읽으면서도 '이것이 사실일까?'하는 생각을 하면서 읽고 있었다.

 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내 의무는 내가 들은 모든 것을 전하는 것이다. 하지만 들은 그대로 전해야 할 의무는 내게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역사를 특정 범위나 분야, 관심사에 가두기보다는 경제,정치,외교,사회,문화,성,종교,군대,바다의 역사로 자유롭게 확장하는 역사서술을 확립했다. 그는 역사를 스토리텔링이라는 방식으로 확립한다. 헤로도토스는 다양하고 믿기 어려운 이야기들을 썼고 나중에 그는 '거짓말의 아버지'라는 말까지 들었다.그렇지만 투키디데스는 <펠로폰네소스전쟁사>에서 역사가가 진정으로 다루어야 할 주제로 정치와 군사와 관련된 역사를 꼽는다. 

 이 두 역사가를 통해서 볼 수 있듯이 역사서술은 이중성을 띤다. 늘 균형을 잃는다. 이러한 이중성은 자료의 엄격한 검증으로서의 역사와 문학적 형태를 갖춘 역사사이에 펼쳐진 낯설고 종종 모순적이며 혼돈스러운 공간에 역사가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랑케와 E.H.카 등 우리가 익히 들어본 역사가들의 역사에 대한 관점과 책에 대한 이야기에서도 역사가 과연 과학인가?문학인가?에 대한 당시 역사가들의 견해를 들어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구조주의속에서 벌어진 역사에 대한 논쟁또한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이 시기를 거치면서 과학으로 편중되었던 시각에 변화가 일어났다. 그 당시까지 마치 의혹의 시대가 한번도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과거에 있었던 사건과 상황들을 차분하고 자세하게 서술하던 명쾌한 글쓰기에서 헤로도토스적인 '서로 엇갈리고 충동하는 해석과 설명'이 등장하기 시작했다.그 뒤를 이어 역사서술에 있어서 많은 문학적인 실험이 계속되고 있다.

 지금의 역사는 국가라는 장벽을 넘어 '초국가적인'역사를 쓰고자 하는 시도와 역사학내에서 세계화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지구의 위기,인류의 위기라는 상황과 맞물려 지구적 규모의 역사를 보고자 하는 시도가 생겨났다.

 이 책은 역사에 대해 관심이 있고 이왕이면 제대로 역사를 공부해보고 싶다는 의욕을 가진 사람이라면 읽어봐야 할 책이다. 역사라는 거대한 대양에서 표류하는 일이 빈번한 역사읽기에서 그래도 내가 헤매고 있는 바다의 지도 한 장을 얻은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