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드래곤볼에서 경영을 배우다 - 초베스트셀러 만화로 즐기는 난생 처음 경영학
이용준 지음 / 더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세기의 명작인 <드래곤볼>을 풀컬러판으로 다시 보던 중 눈에 띈 책이다. ‘초베스트셀러 만화로 즐기는 난생 처음 경영학’ 이라는 표지의 문구가 책의 성격을 한 줄로 나타낸다. 즉, <드래곤볼>을 통해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는 책이다. 주가 되는 내용은 경영학 이론이나 기업의 사례들인데 이것들을 <드래곤볼>에 등장하는 인물과 이야기를 통해 흥미롭게 풀어냈다.

워낙 전무후무한 히트를 기록한데다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작품이기에 <드래곤볼>을 분석한 책은 많이 있었다. ‘프리저의 참된 리더십’ 같은 게시물이 인터넷에 많이 회자가 되기도 했고(https://m.blog.naver.com/dhaliaxjapan/220119808178), <드래곤볼>과 경영 이론을 연결한 이런 글도 있긴 했지만(https://brunch.co.kr/@plusclov/160) <드래곤볼>만으로 경영 서적 한 권을 온전히 펴낸 시도가 신선했다. 내용이 분량 채우기에 급급한 수준이었다면 만화의 유명세에 기댄 파생 상품으로 치부되었을 텐데 의외로 <드래곤볼>과 경영 이론 양쪽 모두 탄탄한 내용으로 채워져 있었다.

특히 좋았던 점은 경영 이론을 설명하는데 있어 작품 기획이나 연재에 관련된 비하인드 스토리도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드래곤볼>이라는 만화 자체가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한 프랜차이즈 상품이기도 한 지라 성공 사례로서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원작자인 토리야마 아키라나 담당 편집자 토리시마 카즈히코의 인터뷰도 자주 인용되며, 단순히 <드래곤볼>의 훌륭한 점만 부각하지 않고 의도대로 되지 않아 실패한 사례 또한 빼놓지 않았다.

한편 아쉬운 점은 저자가 책 첫머리에 일러둔 대로 원작자에게 연락이 닿지 않아 동의를 구하지 못한 상태로 발간되었다는 점이다. 표지 및 본문에는 <드래곤볼>의 일러스트나 만화의 일부가 인용/게재되어 있는데, 하다 못해 저작권 표기라도 해두었으면 어땠을까 싶다. 책의 내용은 충실한데 추후에라도 그 부분이 꼭 해결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의 몸 안에 세상에 대한 답이 있다‘는 이노우에의 말

...앞으로는 미지의 영역입니다. 그런 의미에서도 나의 몸을 사용해서 그리는 것이라 볼 수 있겠죠.
우리가 인생에서 벽에 부딪히면,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거나 그 산에 다시 가고 싶다‘, ‘고향의 바다에서 헤엄치고 싶다‘는 등의 회귀본능이 피어오릅니다. 결국 머리=상상력으로 그 벽을 넘을 수 없기 때문에 몸으로 어떻게든 해결하자는 생각에 산이나 바다로 가려는 발상이 떠오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우리 몸 또한 나무나 돌이나 흙처럼 자연의 산물입니다. 그러므로 벽을 넘기 위한 답을 자연에서 배우고자, 자연 그 자체에서 지혜를 얻고자 하게 되는 것인지도 모르죠.
말로 표현하기 어렵지만, 나는 내 몸속 깊은 곳이 해답이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 듭니다. 이제 와서 생각하면 내가 붓을 쓰게 된 것도 그런 의식의 흐름의 일환 같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깊이 생각하지 말고 일단 빨리 시작하라!

역량 있는 경영자는 계획을 통해 실패를 줄인다. 하지만 위대한 경영자는 실행을 통해 결과를 만든다. 경영학의 3대 구루로 불리는 톰 피터스Tom Peters는 성공한 기업들은 계획보다 실행에 더욱 집중한다고 강조했다. 완벽한 계획을 통한 실행보다는 실행을 통해 계획을 보완하는 것이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만화로 보는 영화의 역사 - 라이벌 난장사
남무성 그림.각색, 황희연 글 / 오픈하우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그대로 영화의 역사를 다룬 만화책. 영화 칼럼니스트인 황희연과 <Jazz It Up!> 으로 유명한 재즈 평론가 겸 만화가인 남무성이 함께 만들었다. 120여 년 동안 눈부신 발전을 이룬 영화의 역사를 시대별, 인물별로 재미나게 엮었다.

구성 면에서 특이한 것은 ‘라이벌 난장사’ 라는 부제처럼 챕터별로 각각 두 명의 인물을 선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영화사의 중요한 순간들을 풀어낸 것이다. 앨프리드 히치콕 vs. 오손 웰즈, 장 뤽 고다르 vs. 스탠리 큐브릭 등 서로 비슷한 시기에 주목받았던 감독들을 비교하기도 하고, 유럽 vs. 미국을 맞붙여 놓아 영화 산업을 둘러싼 패권 경쟁을 다루기도 한다. 어쩌다 영화의 출생지인 유럽 대신 미국이 전세계 영화 산업을 지배하게 되었는지를 세계사의 흐름과 나란히 놓고 볼 수 있는 흥미로운 내용이었다.

학술서가 아니다 보니 누벨 바그나 아메리칸 뉴 시네마 같은 영화 사조들은 가볍게 훑고 지나가는 경향이 있다. 그래도 중요한 내용은 한 페이지씩을 할애하여 주석처럼 설명을 덧붙여 놓은 점이 좋았다. 남무성 작가 특유의 유머 또한 과하지 않으면서 빛을 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우리가 우연히 만드는 새로운 관계를 기존의 범주에 집어넣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거기에서 일반적이거나 공통적인 것을 본다. 반면 당사자들은 개별적이고 자신들에게 특수한 것만 본다—느낀다. 우리는 말한다, 얼마나 뻔한가. 그들은 말한다, 얼마나 놀라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