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언제, 어디서 책 읽는 걸 좋아하십니까?
집에서, 아이와 카페에서,

책 읽을 수 있을 때. 

'책 읽을 수 있을 때'의 기준은 참으로 주관적이다.

한 때는 언제든 틈만 나면 읽었는데

이제는 마음 먹고, 손에서 스마트폰을 떼어놓고서야 읽는다.  


Q2. 독서 습관이 궁금합니다. 종이책을 읽으시나요?  전자책을 읽으시나요? 읽으면서 메모를 하거나 책을 접거나 하시나요?

책을 사서 읽었던 이유는 밑줄을 치기 위해서였다.

그 습관은 지금도 계속 된다.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으면 밑줄을 그을 수 없어서 아쉽다.  



Q3. 지금 침대 머리 맡에는 어떤 책이 놓여 있나요?

도둑왕 아모세

창비 아동문고 신간이다.  



Q4. 개인 서재의 책들은 어떤 방식으로 배열해두시나요? 모든 책을 다 갖고 계시는 편인가요, 간소하게 줄이려고 애쓰는 편인가요?

전에는 책을 다 가지고 있고 싶어했지만,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공간은 유한하고 책은 무한하기 때문이다.

간소하게 줄이려고 하지만, 버리지 않고 사기만 하기 때문에

간소해지지가 않는다.  


 Q5. 어렸을 때 가장 좋아했던 책은 무엇입니까?

사실 어릴 때는 책을 많이 읽지 않았다.

초등학교 시절에 읽었던 효녀 지은에 대한 이야기의 한 장면이 잊혀지지 않는다.

초등학교 시절에는 이순신, 유관신, 김좌진 등 주로 일본과 맞서 싸운 위인의 전기를 읽으며 눈물 흘렸다.

중학교 시절에는 계몽사에서 나온 만화 세계사를 보고 또 보았다.

고등학교 시절 내내 읽은 책은 없다. 수능 끝나고 제일 먼저 읽은 책은 전태일 평전이었다.  



Q6. 당신 책장에 있는 책들 가운데 우리가 보면 놀랄 만한 책은 무엇일까요?

이것도 포함될까 모르겠다.

고등학교 3학년 때 썼던 국어교과서?  

참, 송두율의 책들. 어려운 책을 대학교 1,2학년 때 어떻게 읽었나 모르겠다.

Q7. 고인이 되거나 살아 있는 작가들 중 누구라도 만날 수 있다면 누구를 만나고 싶습니까? 만나면 무엇을 알고 싶습니까?

정약용. 

삶을 어떻게 대했는지 듣고 싶다.  



Q8. 늘 읽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아직 읽지 못한 책이 있습니까?

그리스인 조르바.

작년에 조금 읽다가 다 읽지 못했다. 언젠가는 다 읽을테야.  



Q9. 최근에 끝내지 못하고 내려놓은 책이 있다면요?

라면을 끓이며.

앞 부분 읽고 라면만 끓여먹고 다 못읽었다.  



Q10. 무인도에 세 권의 책만 가져갈 수 있다면 무엇을 가져가시겠습니까?

아...가장 어려운 질문이다.

역사 소설, 과학책, 심리서적 이렇게 세 분야에서 한 권씩 가져가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