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업무의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구조 원리 교과서 - 브라우저에서 서버까지 데이터가 이동하는 진짜 과정을 알려주는 네트워크 메커니즘 해설 지적생활자를 위한 교과서 시리즈
도네 쓰토무 지음, 김현옥 옮김 / 보누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취업을 준비할 때 모집 직군에서 네트워크 관리자라는 표현을 보셨을 겁니다. 컴퓨터 기술자가 네트워크도 함께 관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네트워크는 그 자체만으로도 별도로 공부해야 하는 심오한 영역입니다.

 

그런데 이 네트워크만 딱 떼어놓고 배울 방법이 없습니다. 궁금한 것은 많은데 물어볼 곳도 마땅치 않습니다. 도대체 네트워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 것일까요?

 

보누스에서 출간된 IT 업무의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구조 원리 교과서는 제목 그대로 IT 업무를 하면서 알아야 할 네트워크의 모든 것을 알려주는 종합 테크서적입니다.

 

우리가 작성한 데이터가 어떤 경로를 통해 이동하는 지에 대한 기초적인 의문점부터 라우터와 터널링의 개념 같이 꼭 알아야 할 지식들이 빼곡히 담겨져 있습니다.

 

몇년 전 http와 https의 문제로 나라 전체가 시끄러웠던 적이 있습니다. 텔레비젼 뉴스를 보면 https로 시작되는 주소에 대한 인터넷 검열이 어쩌고 하는 이야기가 계속해서 흘러나왔습니다. 나는 저게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없는데 도대체 저게 뭐길래 온 나라가 시끌시끌했던 걸까요?

 

이 책은 도메인이 무엇인지 웹브라우저가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부터 설명해 갑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서버가 응답하는 과정을 그림과 도표를 통해 상세히 설명해 줍니다. 책에선 파이프를 통해 소켓이 연결되면 데이터가 이동하는 것으로 표현되는 데, 프로그램 상에서 벌어지는 전기적 신호의 일을 물리적으로 풀어 설명해 주니 더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어린 시절 인터넷 공유기로 데이터를 나눠 쓰면 통신사에서 데이터를 차단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일반 전기의 경우 멀티 콘센트로 나눠 쓰더라도 전기 회사에서 확인할 방법이 없는데, 인터넷 데이터의 경우 공유기로 분배하는 걸 통신사가 어떻게 알아채는 건가 하는 궁금증이 있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며 라우터의 개념에 대해 배웠고, 데이터 송수신의 작동 원리와 프로세스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라우터의 개념은 제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넓고 다양했습니다. 제가 라우터라고 생각했던 기기는 실제론 극히 일부의 역할만 수행하는 좁은 개념이란 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데이터의 여정을 함께 하며 돌고 돌아 나의 웹브라우저에 응답하는 과정을 함께 하며 네트워크를 보는 시야를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결코 쉽지 않지만, 전자공학이나 컴퓨터 공학에 대한 기본 소양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며 어떻게 전달되고 역할을 수행하는 지에 대해 분명한 이해를 가지게 되실 겁니다.

 

직장에서 마주하게 되는 TCP, ADSL, LAN 어댑터 같은 단어의 본래 뜻을 알게 되는 것만으로도 이 책은 큰 수확이 됩니다. IT 업무를 수행하며 꼭 알아야 하는 네트워크 개념만 골라 배우고 싶다면 이 책, IT 업무의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구조 원리 교과서를 통해 공부를 시작해 보세요. 우리가알아야 할 네트워크 시스템의 모든 것을 이 책이 쉽고 명확하게 알려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