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 - 요양원을 탈출한 엄마와 K-장녀의 우당탕 간병 분투기
유미 지음 / 샘터사 / 2025년 3월
평점 :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엄마는 나를 케어해주는 존재입니다. 내가 태어났을 때부터 엄마는 나를 지켜왔습니다. 우리는 이 관계가 뒤집어 질 것을 기대하지 않습니다. 엄마는 영원히 엄마이길 바랍니다.
그런데 이 관계가 뒤바뀌게 되는 상황이 있습니다. 엄마를 간병해야 하는 경우가 그러합니다. 나에게 늘 엄마였던 이가 이제 나의 손길을 필요로 합니다. 자녀는 혼란스럽고 당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유미 작가님이 출간하신 신간,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는 뇌종양으로 투병하게 된 엄마와 딸의 이야기를 다룬 책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자신이 겪은 요양과 치료의 과정을 상세하게 글로 옮깁니다.
엄마에게 섬망 증상이 찾아왔습니다. 섬망은 치매와 유사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불가역적인 것은 아니지만, 인지능력과 상황판단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육체적으로도 돌봄이 필요해집니다. 엄마는 투병 중 기저귀를 차게 됩니다. 난생 처음 엄마의 물변을 닦아주고 기저귀를 갈아주며 딸은 비로소 뒤바뀐 세계관을 인정하게 됩니다. 앞으로 모든 것이 달라집니다. 더는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습니다.
이 책에는 비싸고 의미 없어보이는 면역주사를 세일즈하는 요양병원과 치료와 별개로 지출되는 간병인 비용 등 현실적으로 투병의 기간 동안 발생하는 문제들이 생생하게 전해집니다. 섬망으로 오락가락하는 엄마의 정신상태 역시 날것 그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는 것만으로 환자와 가족이 느끼고 있을 감정과 혼돈이 고스란히 체험될 정도로 솔직하고 실제적인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병원을 힘들어하는 엄마는 노인 요양 공동생활 가정이라는 요양원에 입원합니다. 그곳에서 보호자에게 보내주는 사진 속 엄마는 웃고 있습니다. 개인실을 사용하며, 공동 거실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이 과정을 딸에게 전송해 줍니다. 하지만 딸은 알고 있습니다. 웃고 있는 사진의 모습은 찰나이고, 하루의 대부분을 갑갑함 속에 몸부림치고 있을 엄마라는 것을요.
엄마는 피해의식과 망상, 의심, 치매 증상이 심해지며 요양원을 떠나고 싶어합니다. 결국 엄마는 책의 제목 그대로 창문을 넘어 도망쳐 나옵니다.
창문을 넘어 맨발로 도망친 엄마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상태가 급격히 나빠졌을까요? 아닙니다. 엄마는 산책을 하고, 지인과 통화를 하고, 교회에도 나가며 평범한 삶을 삽니다. 죽을 날을 세던 엄마는 1년 반이 넘는 지금까지도 살아 남아 평범한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엄마와 딸의 삶은 독자들에게 깊은 철학적 질문을 던집니다. 삶은 무엇인가, 우리는 남은 시간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가, 행복한 하루는 얼마나 가치있는 것인가.
여러분이 이런 상황에 처한다면 어떤 선택을 내리실 건가요? 보호자로서 엄마의 선택을 존중해주실 건가요? 행복은 무엇이며, 삶의 주인은 누구인가요? 우리는 인생의 고비에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까요?
지극히 현실적이고 생생한 이야기를 담아낸 신간, 창문 넘어 도망친 엄마를 통해 언젠가 우리가 마주하게 될 현실적인 질문을 온몸으로 경험해보시길 바랍니다. 이 책을 통해 좋은 삶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귀중한 인사이트를 얻어가시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