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200
박재역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말은 사람의 품격을 나타냅니다. 잘못된 맞춤법 하나로 그 사람에 대한 평가 자체가 바뀔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우리말 사용에 대해 늘 공부하고 검토하고 수정해 가야 합니다.

 

동아일보에서 교열기자로 일했고, 중국해양대학교에서 한국학과 초빙교수로 재직한 박재역 선생님께서 이번에 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200이라는 책을 출간하셨습니다. 이 책에선 우리말에 대한 다양한 예문과 설명을 통해 올바른 우리말 사용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줍니다.

 

그런데 요즘은 워드 프로그램에서 자체적으로 맞춤법을 검사해 주기 때문에 특별히 맞춤법에 대해서는 고민하지 않고 사시는 분이 많습니다. 마치 내비게이션이 등장한 후 모든 운전자가 길치가 되어버린 것과 같습니다. 이제는 동네 마트를 갈 때도 내비게이션을 켜고 가게 되었습니다.

 

AI가 알아서 맞춤법을 수정해 주는 시대에 우리는 왜 굳이 맞춤법 공부를 해야 하는 걸까요? 우리말 공부는 단순히 맞춤법을 틀리지 않기 위해 하는 것만이 아닙니다. 책의 제목에 정확히 표현하고 있듯이 우리말을 맛있게 사용하기 위해선 반드시 공부가 필요합니다. 우리 단어에 담긴 속뜻과 다양한 용례를 알게 되면 적절한 순간에 참 맛있는 우리말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우리말을 맛있게 쓰며 감정도 풍부해지고, 사람 자체가 더 교양 있어 보이게 됩니다. 수학, 과학처럼 우리말도 따로 시간을 내어 익히고 학습해야 할 것입니다.

 

책은 한 호흡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마다 하나의 주제에 대한 우리말 이야기를 명쾌하게 전달해 줍니다. 따라서 아무 때고 원하는 페이지를 펼쳐 들어 딱 한 장만 읽고 책을 덮어도 그날 하루치의 교양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습니다.

 

그저 정보만을 전달해 준다면 한 권의 책을 읽기가 여간 피곤한 일이 아닐 수 없는데, 이 책은 정보를 전달해 주기 전 그와 관련된 저자의 짧은 사견 혹은 경험 같은 이야깃거리들이 제시됩니다. 제시된 상황 속에서 우리 말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고 내가 실수했던 것, 잘못 표현한 우리말을 깨닫고 더 나은 표현을 사용할 조언을 얻어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피란과 피난의 차이를 알고 계셨습니까? 평소 책을 많이 읽어왔지만, 두 단어가 다르다는 사실은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맞춤법 검사 프로그램을 돌려도 이 단어를 잘못 사용하는 것은 걸리지 않을 것입니다. 둘 다 틀린 단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재난을 피해 옮겨갈 때는 피난으로, 전쟁을 피해 옮겨갈 때는 피란으로 쓰는 것이 옳습니다. 오랜 기간 올바른 우리말을 직업으로 삼고 살아온 저자가 알려주는 우리말 이야기는 제가 평소에 생각지도 못했던 부분까지 풍성하게 교정해 주었습니다.

 

한자를 잘 모는 세대가 이미 대세가 되었습니다. 저 역시 한자는 전혀 알지 못합니다. 그렇다고 우리말을 잘 쓰기 위해 다시 한자를 배우기엔 노력 대비 효과가 그리 커 보이지 않습니다. 적어도 이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만이라도 빠삭하게 알자가 제 단기 학습 목표가 되었습니다. 모든 표현을 완벽하게 쓸 수는 없지만 어제 했던 실수를 오늘 하지 않고, 내일은 좀 더 수려한 표현을 쓰는 제 모습을 기대할 뿐입니다.

 

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200을 통해 교양 넘치는 한국인이 되어봅시다. 어디에서도 당당하게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는 여러분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본 리뷰는 문화충전200을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