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 (15만부 기념 리커버)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마음 근력의 힘
김주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사람은 실패 앞에서 좌절하고 무너져 버립니다. 그런데 또 어떤 사람은 실패를 기회삼아 새로운 변화를 꾀하고 나아가 성장을 이루어내기도 합니다.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2011년 출간된 김주환 교수님의 저서 회복탄력성은 출판계에 폭발적인 반향을 일으키며 15만부 이상이 판매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당시에 이 책은 한국의 독자들에게 낯설었던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바꾸어놓았습니다.

 

회복탄력성은 쉽게 말해 마음의 근력을 의미합니다. 이 책에선 자신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을 오히려 도약의 발판으로 삼는 힘이라고 정의합니다. 쉬워보이는 문장 안에 어마어마한 난이도의 인생 퍼즐이 숨어 있는 느낌이었습니다. 나에게 닥치는 온갖 역경과 어려움 앞에서 좌절하고 무너지는 것이 오히려 순리에 맞는 일 아닙니까? 그런데 회복탄력성은 그 앞에서 무너지지 않는 수준을 넘어서 오히려 그것을 도약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우리는 실패 없이 승승장구한 삶을 성공이라고 부르지만, 저자는 성공을 위해선 반드시 실패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성공과 실패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 진정한 성공 안에 실패가 포함되어져 있는 개념으로 우리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어야 하는 것입니다.

 

회복탄력성을 마음의 근력으로 이해하는 것은 놀라운 생각의 변화를 가져다 줍니다. 이전까지 의지력이나 결심 같은 것은 내가 정한 때에 단번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했었습니다. 그래서 무슨 일을 하기 싫거나 해내지 못할 때는 의지력이 약한 자신의 정신상태를 핑계로 대곤 했습니다. 그런데 회복탄력성을 이두근, 삼두근과 같은 일종의 근력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하면, 이것은 결심의 문제가 아니라 훈련과 습관, 삶의 자세의 문제로 치환되어집니다. 내가 지금 당장 힘을 쓰기로 결정한다고 마법처럼 힘이 솟구치지는 않습니다. 우리는 회복탄력성을 연습하고 훈련해서 키워가야 합니다. 몸의 근력처럼 마음의 근력도 얼마든지 성장시킬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선 젓가락질을 처음 연습하는 외국인들의 예를 들며 우리의 뇌 역시 훈련을 통해 새로운 자세를 발달시킬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실패에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뇌의 반응 기제를 만들어 뇌 자체가 특정 사건 앞에서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반복적인 훈련을 해나가는 것입니다. 뇌신경 어쩌고 하는 얘기들이 나오니 상당히 복잡할 것 같지만, 저자는 3개월 정도의 훈련이면 누구나 회복탄력성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인간의 삶은 크게 자기 자신을 대하는 삶과 남을 대하는 삶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도 자기조절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라는 두 가지 카테고리에서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살펴봅니다. 검증된 심리실험들을 소개하며 각각의 상황에서 어떻게 회복탄력성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자세히 소개해주기 때문에 반드시 책을 읽어보시고 자신의 삶에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누군가는 실패에 파묻혀 앞으로 나아가질 못합니다. 그런데 누군가는 그 실패를 용수철처럼 활용해 앞으로 더 크게 뛰어 나갑니다. 누군가는 자신의 약점을 붙잡고 몇 년을 씨름합니다. 그런데 누군가는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이를 강화해가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갑니다. 이 놀라운 차이의 비결을 알고 싶은 분들은 이 책, 회복탄력성을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이미 수많은 독자들의 삶을 바꾸며 검증되고 또 검증된 명저 회복탄력성을 통해 작년과 다른 새로운 모습의 자신을 만들어가시기를 기대합니다. 연말을 맞아 우리가 꼭 읽어야 할 책이 있다면 바로 이 회복탄력성입니다. 회복탄력성을 통해 어제의 실패를 딛고 새로운 걸음을 걸어나가는 여러분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