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명의 완벽주의자 - 내 안의 완벽주의로 더 행복한 나를 만드는 법
이동귀.손하림.김서영 지음 / 흐름출판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분은 완벽하다는 말이 긍정적으로 들리십니까? 부정적으로 들리십니까? 아마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완벽하다는 말을 좋아할 것입니다. 완벽한 부모, 완벽한 사원, 완벽한 남편, 완벽한 엄마, 이것보다 우리를 기분좋게하는 극찬이 또 있을까요?

 

그런데 이러한 완벽에 대한 추구가 우리에게 꼭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경우 완벽주의는 우리의 사고와 인생을 망칩니다. 완벽주의라는 환상에 갇힌 인간은 자신을 파괴합니다. 우리는 이 완벽주의가 무엇인지에 대해 좀더 깊이 고민해보아야 합니다.

 

이동귀 교수 연구팀에서 출간한 신간, 네 명의 완벽주의자는 완벽주의에 대한 A부터 Z까지 모든 것을 파헤친 놀라운 책입니다. 평소 완벽주의에 대해 고민해보셨던 분들은 물론이고 완벽주의가 무엇인지를 모르고 마냥 좋게만 생각했던 분들까지도 이 책을 읽으신다면 완벽주의에 대한 깊은 통찰을 가지게 되실 겁니다.

 

완벽주의에 대해 이야기하는 다른 책들에서 다루는 포인트는 주로 완벽주의를 나쁜 것으로 정의하고 완벽주의를 버리는 법에 대해 가르치곤 합니다. 비우는 법, 버리는 법, 받아들이는 법. 포기하는 법을 통해 수용형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는 것에 대해 전해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책에선 완벽주의를 상당히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접근합니다. 이 책에는 행복한 완벽주의자라는 개념도 등장합니다. 자신에 대한 완벽주의로 인해 고통받던 사람이 단순히 무소유를 추구하는 비완벽주의자로 가는 것이 아니라, 완벽주의를 융통성있게 이용하는 행복한 완벽주의자의 삶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과도한 완벽주의는 우리로 하여금 지나치게 높은 허들을 만들어 새로운 일이나 도전에 대한 회피를 키우고 도리어 상황을 퇴보시키는데 일조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완벽주의를 잘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다면 꼼꼼하고 섬세하게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완벽주의를 단순히 좋고 나쁨의 문제로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나를 얼만큼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내 염려와 행동의 동기에 대해 다시 생각하여 나에게 가장 좋은 방식이 무엇일지 알아가는 기회를 갖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완벽주의에는 실수에 대한 지나친 염려, 정리 정돈 습관, 부모의 높은 기대, 높은 성취 기준, 행동에 대한 의심 등 다섯 가지 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얽혀 우리를 옭아매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책을 통해 각각이 어떤 면에서 허구이고, 어떤 면에서 진실인지, 왜 그것이 나에게 유난히 크게 작용하는지를 이해하게 된다면 우리는 조금 더 선명하게 나의 행동원리를 깨달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분석은 나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지만, 동시에 가족이나 직장 동료 등 주변인을 이해하고 세상을 보는 시각에도 큰 변화를 가져다 줍니다.

 

완벽주의는 좋은 동기에서 시작되었을지 몰라도 좋은 동기가 반드시 좋은 열매로 맺히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완벽주의를 더 깊이 이해하고 이것이 우리에게 가져다 주는 안좋은 열매들을 제거해야 합니다. 또 더 나아가 그 썩은 뿌리를 없애 새롭게 변화된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이책을 통해 우리의 두려움의 근원이 무엇인지, 우리는 왜 자꾸만 회피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게 되시길 바랍니다. 우리는 완벽을 바라지만 동시에 절대로 완벽해질 수 없습니다. 이 모순 앞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버려야할지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새로운 변화의 첫걸음에 네 명의 완벽주의자가 훌륭한 가이드가 되어줄 것입니다. 이책을 통해 더이상 자신에게 묶이지 않는 자유로운 새 사람이 되시길 바랍니다. 세상 모든 완벽주의 지향자들에게 네 명의 완벽주의자를 적극 추천드립니다.


본 리뷰는 출판사를 통해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