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놓았던 삶의 끈을 잡으려 하는 남녀의 알싸한 이야기.
편독을 하는 것이 아닌가 자문해 보았다.
짧고 Impact있는 책도 좋지만 장황한 이야기속에 감동을 주는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에 펼쳐 든 소설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속에 있는 소설에 대한 편견을 버리지는 못했다.
왜냐하면 이 책은 알라딘 헌 책방에서 구입한 것이기 때문이다.
거금(?)을 들여서 소설책을 사 읽는 것은 어쩐지 금전적 낭비라는 생각이 있다.
이런 편견은 오래 전부터 내 속에 자리잡은 썩은 생각이다.
버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쉽사리 버리지 못하는 아주 나쁜 버릇과도 같다.
이 책.
책을 펼치면서 작가가 공지영인 것을 알았다.
공지영 작가를 좋아하지만 일부러 찾아 읽는 열성있는 독자는 아니다.
완독 후에 '역시'라는 찬사를 보내는 아주 소극적인 독자이다.
삶에 미련이 눈꼽만치도 없는 주인공 문유정.
그녀의 고모인 모니카 수녀의 손에 이끌려 교도소로 간다.
그 곳에서 3명의 여인을 살해하고 어린 소녀를 강간한 죄로
사형을 선고받은 정윤수를 만나게 된다.
개 닭보듯 아무런 감정도 느낌도 없는 첫 만남.
정윤수가 어린 소녀를 강간했다는 범죄 내용에 치를 떨게 된다.
그녀에게는 어릴 적 사촌 오빠에게 강제로 추행을 당한 아픈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벌레보다 못한 인간을 바라보는 유정의 싸늘한 시선.
곧 집행될 사형을 기다리며(?) 하루 하루를 무의미하게 보내는 윤수.
한 번 두 번 만남이 이어지면서 서로의 감춰졌던 비밀들을 이야기하며
서로를 이해하며 동정하는 마음이 싹 트게 된다.
매 주 목요일 만남이 점점 기다려지고 만남이 지속되면서 놓았던 삶의 끈을
잡으려하는 남녀의 애뜻하고 알싸한 이야기...
그들이 실은 뼛속까지 외롭고 스스로 홀로 앉은 밤이면 가여운 것이 사실인데도,
그것을 위장할 기회와 도구를 너무 많이 가지고 있음으로 해서,
실은 스스로가 외롭고 가엾고 고림된 인간들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기회를 늘 박탈당하고 있다는 데 있었다.
한마디로 그들은 생과 정면으로 마주칠 기회를 늘 잏ㄱ고 있는 셈이었다. ---119p
그러니까 우리는 죽고 싶다는 말 대신 잘 살고 싶다고 말해야 돼.
죽음에 대해 말하지 말아야 하는 건, 생명이라는 말의 뜻이 살아 있으라는 명령이기 때문이야..... ---159p
아는 건 아무것도 아닌 거야. 아는 거는 그런 의미에서 모르는 것보다 더 나빠.
중요한 건 깨닫는 거야. 아는 것과 깨닫는 거에 차이가 있다면
깨닫기 위해서는 아픔이 필요하다는 거야. --------160p
그래서 우리가 혹여 귀를 기울여야 하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 진실이라는 거....---205p
영상이 아니고 글로 뭉클함을 느껴 본 게 얼마만인가?
실화도 아니고 있지도 않았던, 꾸며낸 이야기인 소설에 빠져서...
영화로 상영되었다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영상으로 보게 된다면 아마도 펑펑 울었을 내용이다.
뻔한 이야기일 것이라고 상상했었다. 그러나 상상만큼 뻔하지는 않았다.
만약 뻔했다면 나같은 냉혈한이 뭉클했을리 없다.
삶과 죽음.
희망이 보이자 삶을 애착하게 된다 . 삶의 끈을 꽉 쥐어본다.
그러나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모래알처럼 산산이 흩어져가는 바램들....
어깨 동무하며 같이 걸어줄 친구가 있다면 우리네 삶이 그리 적막하지는 않을텐데.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이 시간을 계기로 유정이 펼칠 행복한 시간들을 상상해 본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여자들은 소설을 좋아한다.
왜 일까? 할 말이 많으니깐.
그러나 남자들은 소설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긴 이야기보다는 진액있는 책을 좋아한다.
할 얘기가 많고 들을 얘기가 많은 여자들 그래서 오해가 적다.
짧고 단답식으로 대화하는 남자들은 그래서 착각이 많이 한다.
사랑.
여자들은 할 얘기가 많다.
그러나 남자는 별 얘기없이 불 만 끄려한다. ㅎㅎㅎ
이제 알 것 같다. 왜 여자는 소설을 좋아하고 남자는 소설을 제외한 다른 책을 원하는지.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