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전래 설화가 모티브가 된 소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소설가 .황석영.

그의 이름 석자만 보고 구입한 책이다.

바리데기.

특이한 제목의 책이다.

우리나라에 전해 내려오는 설화가 모티브가 된 소설이라는 것은

한참이 지난 후에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이런 설화가 있었나? 소설가들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교과서나 유명 서점에 진열된 책이나 좀 알 지 그 외에는 문외한인데...

숨겨진 설화를 끄집어 내어 새로운 싹을 틔우는 창의력.

놀라울 따름이다.

북한, 청진 딸만 여섯 인 가정에 막내 딸로 태어난 바리데기.

아들을 기다렸는데 이 번도 딸이다.

여섯 번의 실망, 일곱 번째 기대를 했건만 역시 딸이었다.

그 실망감으로 아버지는 외면하고 엄마는 산 넘어에 갓난 아이를 버렸다.

언니들은 정상적인 이름이 있지만 바리데기에게는 엇 나간 이름이 지어진다.

이북 사투리가 가미된 이름이다.

던져라 던지데기 바려라 바라데기. 그러니까 너 이름이 바리가 된 거다 ----11p

할머니를 포함해서 열 식구가 살기에는 충분할 정도의 수입이 있는 가정이였다.

그러나 북한에 기근이 들면서 외삼촌의 관리 소홀로 외삼촌 직장에 문제가 생긴다.

중국으로 도피한 외삼촌이 남한으로 갔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며칠 후

아버지는 직장에서 쫓겨나고 어느 강제 노동 수용소로 끌려간다.

범죄자의 가족으로 몰리며 모두가 뿔뿔이 흩어지게 된다.

다행이 바리는 할머니와 바로 위 언니와 함께 중국으로 피신하게 된다.

추위와 기근으로 가족을 하나 둘 잃게 되고

아버지 지인의 도움으로 중국에 정착하게 된다.

그러나 같이 일하게 된 언니 부부의 문제로 영국행 밀항선을 타게 된다.

죽은 사람과 만날 수 있는 영매 능력이 있는 바리는

죽은 할머니와 칠성이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하게 되는데.......

외국 작품에는 성경이나 그리스,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건이

모티브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성경과 그리스,로마 신화를 읽으면 외국 작품을 이해하기가 쉽다.

많이 아니더라도 생경한 내용이 아니라면 이래 저래 들고 읽은 게 있어

대충 짐작해서 그 줄거리를 엮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의 모티브가 된 우리나라의 설화를 모르고 있었으니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데 쉽지 않았다.

솔직히 무슨 얘기를 하려고 하는지 바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마지막 페이지

오랜 동안 연재했던 한겨레 신문사 최재봉씨와 인터뷰한 내용이 실려 있다.

최 : 설화에서는 바리가 약수를 구해 죽은 부모를 살립니다. 소설'바리데기'에서

바리가 구한 생명수는 어떤 것일까요?

분열과 증오와 죽임의 21세기 지구촌에서 생명의 길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황 : 숨은그림찾기입니다. 글쎄요. 이 작품에서 생명수는 과연 무엇일까요?

그리고 바리는 그것을 찾기라도 했을까요?

이는 독자들께 던지는 질문이 될 것 입니다.

알 듯 모를 듯.

그러나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그 답을 찾으시길 바랄 뿐..

설화를 미리 읽고 이 책을 보면 더 좋을 수도 있겠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