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평생 독서 - 나를 키우는 힘
김병완 지음 / 프리뷰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김병완의 글은 경험에 우러나는 글을 쓴다.
피상적으로 독서의 중요성에 대해 얘기하지 않고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서의 중요성, 필요성을 설득력있게
얘기해 주고 있다. 몇 번을 읽어도 좋고 저자의 책을 시리즈로 읽어도 좋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생 독서 - 나를 키우는 힘
김병완 지음 / 프리뷰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고 감동적이어서 무려 5권을 추가 구입해서 주변 후배들에게 선물.
독서를 통해 비로소 인간이 되는 것의 중요성을 피력하고 있다.
출세와 성공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독서가 아니라 목적으로서의 독서.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좋아할 얘기들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평생 독서 - 나를 키우는 힘
김병완 지음 / 프리뷰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깁병완 저자의 책은 유용하다.
자기 계발서의 범주에 드는 책을 주로 집필하는데
황당하거나 곧 수그러질 의지를 자극하는 글이 아니라
평생 실천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언급하고
그것이 주는 효과, 효력에 대해서 설득력있게 얘기한다.
이 책 역시 그 범주에 드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 최고의 인재들은 왜 기본에 집중할까 - 평생 성장을 멈추지 않는 사람들의 48가지 공통점
도쓰카 다카마사 지음, 김대환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부한 얘기, 그러나 기본에 진리가 있다는 깨달음을 주는 책. 

그 기본은 인간에 대한 존중함으로부터 시작되는 것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나이가 젊었을 때나 중년이 된 지금이나 변함없이 궁금하다.

그렇다고 전혀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피상적이지 않고 문자화된 것들을 통해

흐트러진 긴장의 끈을 다시 묶고 싶은 마음에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자기 계발서에서 열거하는 내용들이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선험적인 것들이 정반합이

되면서 새로운 깨달음 줄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읽게 되었다.

프롤로그

1.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긴다.

2. '자기계발'을 평생 지속한다.

3. 하루도 빠짐없이 '성과'를 낸다.

4. '글로벌 마인드'를 한순간도 놓치지 않는다. ​

사람과의 관계에 투자하라

나와 관계를 맺은 모든 사람들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갖는 것이다. ------24p

상대방의 이름을 기억했다 불러 주는 행위 자체가 인간관계를 맺어 가는 시작이라고 생각 ------31p

 

자신의 내면과 외면을 가꾸는 일에 힘쓴다

마음에 여유가 있으면 행도에도 여유가 생긴다.

행동에 여유가 있으면 마음에도 여유가 생긴다.

이는 긍정적인 사고가 좋은 결과를 낳고,

좋은 결과가 더욱 긍정적인 사고로 이어지는 사이클과 비슷하다. ​ ------62p

시간을 지배하는 사람들의 업무술

이익을 극대화하는 자료로 회의에 기여한다

글로벌 커리어에 도전하라 ​

 역시 여러 가지 좋은 이야기들을 던져 주고 있다.

그러나 나에게 꽂힌 것은 인간에 대한 것이다. ​

요즘의 젊은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위 '스펙'이라는 것의 대부분은 개인적인 것이다.

어학에 대한 것, 자격증에 대한 것 등등.

정작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소홀하게 여기고 있다.

 그 저변에는 스스로가 똑똑하면 다른 사람은 자연스레 자기를 따를 것이라는 착각이 있다.

좋은 스펙을 쌓아 원하는 직장에 들어가면 여타의 사람들이 자기를 인정하고

우러러볼 것이라는 착각.

 그러나 막상 그 집단에 들어가는 순간 스스로가 아주 작은 존재라는 것을 깨달케 된다.

또한 실력은 있으나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마인드가 안 된 상태에서 자연스럽지 않고

우러나지 않는 태도를 보여야 하니 스펙 쌓기보다 어려운 것이 사람 관계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나마 그 순간 자기반성을 통해 자기를 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되면 다행인데

그렇지 않고 원인을 외부에서 찾을 때 심각한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방법은 하나이다.

사람에 대한 생각을 고쳐먹으면 되는 것이다.

자존감을 유지한다는 전제에서 나를 제외한 모든 사람은 소중하고 위대하다는

자기반성과 겸허의 자세로 사람 관계를 쌓는 것이다.

출발은 어려울 수 있으나 그 빛은 곧 보게 된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들은 인정받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상대를 진심으로 인정할 때 상대에게 있어 나는 귀중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인간관계라는 것이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

내가 싫어하는 기색을 보이는데 상대가 나를 변함없이 좋아하기 어렵고

반대로 상대가 싫어하는 것을 알면서 친절로 일관한다는 것은 고통인 것이다.

 

 자기 계발서의 성격상 원만한 인간관계를 성공의 발판으로 삼으라고 역설하지만

성공과 실패를 떠나 존중하는 인간관계는 사회를 더욱 밝게 만드는 것이다.

​ 논어, 맹자, 성경에서 말하는 정도까지는 어렵더라도 최소한 나를 멀리하는 사람

나를 경계하는 사람을 껴안을 수 있을 정도의 도량만 있다면 좋은 것 아닐까?

모두 '을'처럼 생각하고 행한다면 지금보다는 덜 삭막할 것이고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모일 것이다.

 새해 결심 중 하나는 사람들과의 관계 회복이다.

가까웠던 사람들은 매월 1회 이상의 만남, 거리가 좀 있는 사람들과는 전화 통화라도..

그보다 더 먼 관계의 사람들에게는 안부 문자라도

그렇게 하다 보면 관계가 호전되고 발전하게 될 것이다.

어렵고 자기희생이 따르는 것이다. 그러에도 불구하고 얻어지는 것은 그 이상일 것이다.

이 책은 그 얻음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비록 바라는 만큼의 얻음이 아니더라도

스스로가 성장하는 모습에 깜짝 놀랄 것이다.

 각설하고

이 책 자기 계발서 맞지만 좀 더 시야를 넓게 본다면

자기 수양서가 되지 않을까? 그런 의미에서 읽으면 도움이 될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야 나무야 - 국토와 역사의 뒤안에서 띄우는 엽서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199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을 바라보는 따스한 눈길.-여행 작가 지망생들에게 추천

 

신영복 교수의 책을 접하게 된 게 어떤 의도나 목적이 아니었다.

여행 작가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러던 중 인터넷 서점에 전시되어 있는 책 중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별점이 많은 것을 ​고르다 보니 우연하게 고르게 된 것이다.

 저자의 연력을 읽다 보니 예사로운 인물은 아니었다.

'통일 혁명당' 사건으로 무기징역을 받고 20년 20일 동안 영어의 몸이었다가 풀려났다고 한다.

시간을 거슬러 생각해 보면 억울한 옥살이가 아니었겠나 짐작해 본다.

 150여 페이지의 얇은 책이라 금세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내용의 깊이 그 어느 책보다 심오하였다.

글을 쓰기 위해서 떠난 여행은 편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좋은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

그런 부담 없이 다시 떠나보고 싶습니다. ------------------------------6P

피라미드의 건설이 정치가 아니라

피라미드의 해체가 정치라는 당신의 글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땅을 회복하고 노역을 해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든 형태의 피라미드를 허물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 ------------ 23P

"처음으로 쇠가 만들어졌을 때 세상의 모든 나무들이 두려움에 떨었다.

그러나 어느 생각 깊은 나무가 말했다. 두려워할 것 없다.

우리들이 자루가 되어주지 않는 한 쇠는 결코 우리를 해칠 수 없는 법이다." ----- 29p​

세상에서 가장 능력이 있는 사람이 수많은 손을 가진 사람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그러나 그것은 마음이 있는 손이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 69p

없이 사는 사람들의 부정은 흔히 그 외형이 파렴치하고 거칠게 마련이지만

그것은 마치 맨손으로 일하는 사람의 손마디가 거친 까닭과 같은 이치라고 생각합니다.

그에게는 '합법적인 불법'을 저지를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

정작 딱한 것은 그 부분을 줌렌즈의 피사체로 잡는 세상 사람들의 춘화적(春畵的) 탐닉이며

그러한 이데올로기의 당의(糖衣) 길들어 있는 우리들의 빈약한 의식이라고 해야 합니다. --- 116p​

 감성적으로 느낌이 와 닿는 얘기보다는 왜 저렇게 말했을까 곱씹어 보게 된다.

어떤 연유에서 저런 생각을 갖고 저런 말, 표현을 할 수 있는가 생각하게 된다. ​

자연의 이치 속에 사람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작고 미약한지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토를 발로 디뎌 보면서 새롭게 느끼는 국가.

그리고 그 속에 어우러져 사는 인간 군상들의 모습.

치열한 인간들의 삶과 달리 질서 정연하게 움직이고 있는 자연의 위대함.

그 속에서 스스로를 돌아보고 세상의 불공평함과 현실의 부조화, 부조리에 대해서 일침을 놓는다.

큰 목소리를 자기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겸손하게 설득하며 세상 사람들에게

이렇게 살지 말자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 바둥바둥 살아 뭐 하겠소. 같이 어깨동무하며 더불어 살면 얼마나 좋소라고 말하고 있다. ​

 

 여행 작가의 글이 어떠해야 하는가의 호기심에서 출발해 읽게 된 책이다.

바위와 나무의, 건물의 풍광을 노래할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숨 쉬고 있는 문화를 볼 줄 아는 게

진정 여행 글이라는 것을 알게 해 준 책이다.

그래서 여행 글이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고 또 어떤 콘텐츠로 글을 채워야 하는지 알게 된 책이다.

여행 작가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읽어 보면 어떨지....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