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화문 600년의 기억
정명림 지음, 장선환 그림, 이지수 기획 / 해와나무 / 2025년 8월
평점 :
리뷰어스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광화문 600년의 기억
" 경복궁의 정문,
광화문이 걸어온 600년의 역사 이야기! "

광화문을 지나칠 때마다 웅장한 모습에 눈길이 머물지만,
그 속에 담긴 600년의 이야기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아요.
《광화문 600년의 기억》은
광화문이 처음 세워진 순간부터 훼손과 복원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600년의 역사를 담아낸 책이에요.
조선 건국에서 시작해 현재까지 이어진 광화문의 이야기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어요.

임금의 큰 덕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뜻의 광화문!
책은 수많은 백성들의 땀과 노고 속에 세워졌다는 이야기부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광화문,
일제강점기에 제자리를 빼앗기고 구석으로 밀려난 광화문,
한국전쟁 속에서 지붕이 무너져 석축만 남게 된 광화문까지 차례로 소개돼요.
해방 이후에는 전통 방식이 아닌 돌과 시멘트,
철근으로 복원되기도 했고, 광화문 앞에는 동상이 세워지기도 했어요.

광복 50주년에는 경복궁 앞을 가로막던 조선총독부 건물이 철거되었고,
첨탑 일부는 분리되어 지금은 천안 독립기념관에 전시되고 있어요.
이후 광화문은 조금씩 본래 자리를 되찾았어요.
그리고 미국 박물관에서 발견된 옛 사진과 경복궁 영건일기를 바탕으로
현판 색깔이 “검은 바탕에 금빛 글자”였음이 밝혀졌고,
2023년에는 월대와 함께 복원되어 100년 만에 본래의 모습을 되찾았어요.
저는 예전에 광화문의 역사에 대한 다큐를 본 적이 있는데,
그때 봤던 내용을 다시 책으로 읽으니 더욱 반갑고 흥미로웠어요.
오늘날의 광화문은 세종대왕상과 이순신 장군 동상이 함께 서 있고,
광화문 광장에서 문화 공연과 민주주의 집회가 열리는 상징적인 공간이 되었어요.
이 책을 읽으며 광화문이 과거의 역사를 담은 유산일 뿐 아니라,
지금도 우리 삶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역사라는 사실을 느낄 수 있었어요.
앞으로 광화문을 지나칠 때마다 경복궁의 정문이 아닌
오랜 세월 우리 역사를 지켜 온 상징으로 바라보게 될 것 같아요.
무엇보다도 낙서나 불로 인해 다시는 소실되는 일이 없도록,
모두가 함께 아끼고 관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광화문 600년의 기억 ―
광화문에서 역사 문화 공간의 소중함을 되새길 수 있는 책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