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도 위로가 필요하다 - "엄마"라는 나를 위로하는 마음 치유 부모교육서
송지희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들어 부모 양육서나 전문가들의 글을 보면 엄마들이 정말 너무나도 많은 잘못으로 아이들을 버린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답니다. 엄마도 엄마가 되기 위해 공부를 한것도 아니고 자격증을 딴것도 아니기에 실수를 당연히 하게 되는건 아닐까요?... 많은 사람들이 다 엄마탓이란 이야기를 할때마다 유아교육을 전공한 한 사람으로 화도 많이 난답니다. 물론 그러한 엄마가 되기까지 주위 환경은 어떠했을까요? 가정에서 엄마의 우치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은 하지만 정말 그렇게 몰라간 것은 아닌지 의문도 든답니다. 가정은 혼자가 만든것이 아니고 부모라는 이름이 있으니깐요~ 그러다가 만난 책이름으로 벌써 위안이 되는 기분은 뭐지~~ ㅎㅎㅎ
이책의 구성은 총 3파트로 나누어져 있답니다. 1. 부모-나를 바라보다, 2. 부모-자녀와 마주하다, 3.자녀와의 관계를 치유하다 이며 에필로그와 부록으로 행복한 부모가 되려면으로 짜여져 있어요.
우리집 아이들과는 그나마 다른 부모들 보다는 그래도 아이들과 같은 눈 높이에서 바라보려고 노력을 하는 편이랍니다. 아빠도 가정적이니깐요~ 저도 공부도 한편이고 나름 강좌도 듣고 반성도 해가면서 지내고 있답니다. 하지만 위로 받고 토닥여 주는 사람이 잇다면 더 행복해 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엄마로 가정일도 하고 직장일도 하고 그리고 아이들을 양육하는 사람은 엄마이니깐요. 저자의 말처럼 화가 날땐 바로바로 해소하고 나를 돌아보자란말에 크게 공감했답니다. 그때그때 풀지 않고 아이들과 있다거 화가 터지기 정말 쉽더라구요. 저또한 그런 엄마였구요. 그리고 내가 왜 화를 내고 잇는가를 정말 자세히 살펴야 하겠더라구요. 그러한 상황에 상처 받는건 내가 아니고 아이들이기에,,,,
다양한 양육서에서 이야기 했듯이 부모는 아이가 있어서 아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부모가 된것이기에,, 어른이여서가 아니고 아이랑 같이 성장한다는 말이 딱 맞는 말이더라구요. 아이가 10살이면 부모나이도 10살이거죠~ 아이랑 같이 자라는 부모,,,, 이젠 이해가 갑니다. 그리고 아이도 부모도 높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어야 서로를 이해하고 더 사랑할 수 있는것이 아니가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가 고개 숙이지 않게 그리고 그렇게 화를 내어 엄마인 나도 상처 받지 않고 서로가 자존감을 이끌어 주어야 하겠답니다.
책의 끝부분에 와서 읽기를 정말 잘했다란 생각을 했답니다. 아이를 둘이이 키우면서 어쩜 그리도 아이마다 다른 상황들이 생기는지,, 그리고 나와 비슷한 따라이를 보면서 속이상하기도 하고 화도 나지만 아이가 힘들어 하지 않으면 조금은 아이를 기다려 주고 나도 나의 일에 조금으 집중하고 나와 아이를 따로 두고 보아야 한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했답니다. 내가 조금씩 변하면 아이에게도 조금씩이지만 변화가 시작된다는 점을 항상 상기시키면서 아이랑 같이 자랄랍니다. 그리고 대화가 소통되는 가족이 되었으면 하구요. 저자는 이렇게 행복한 부모가 되기 위한 10가지 기술을 요약해 두었답니다. 그리고 주위 엄마들에게 이책을 권해즈고 싶네요~ 서로 다독여 가면서 행복해 지자구요~
‘행복한 부모가 되기 위한 10가지 기술’
1. 자녀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간섭이 되기 쉽다.
아무리 친밀한 가족이라 해도 안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2. 부모는 자기를 수용해야 한다.
자기 수용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며 인정하는 것이다
3. 부모는 자녀의 정서적인 양육자가 되자.
자녀를 정서적으로 튼튼한 아이로 기르려면 부모 자신의 자존감이 높아야 한다.
자존감은 대물림된다.
4. 자존감이 낮은 아이에게는 정서적인 지지를 한다.
아이가 실패를 해도 긍정적인 말을 해주면 아이는 꾸준히 노력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5. 엄마가 해주는 음식은 불안과 심리적 허기를 해소시킨다.
아이가 먹고 싶어하는 음식을 만들어주는 것도 자녀의 정서적 건강에 유익하다.
6. 사춘기 아이들에게는 부모보다 또래친구가 훨씬 중요해진다.
자녀의 또래 문화를 이해하고 아이들의 입장을 공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7. 부모의 마음에 감정을 담아둘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그래야 심리적 에너지가 생기고 자녀에게 공감할 수 있게 된다.
8. 매사 자녀에게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인다.
자녀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지나친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부모 자신의 감정을 다스려야 한다.
9. 자녀가 반항할 때 체벌을 해서는 안 된다.
부모가 감정을 통제하지 못하면 아이는 자신감을 잃고 더욱 반항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한다.
10. 부모가 자녀에게 하는 말과 행동은 일치해야 한다.
부모는 자신의 마음을 잘 살펴서 마음에 없는 이중적인 말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