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밤 주우러 가자! - 이호철 사계절 동화 : 가을 ㅣ 살아 있는 글읽기 9
이호철 지음, 이재관 그림 / 고인돌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알밤주우러 우리 아이들은 어디로 갈 수 있을까요? 엄마인 제가 어릴적에는 뒷동산에 가면 도토리도 알밤송이도 종종 볼 수 있었는데 우리 아이들은 체험 농장으로나 가야지 이런 과일이나 열매를 수학할 수 있잖아요. 정말 속상하더라구요. 아이가 이렇게 밤송이를 타본 기역이 없으니깐요~ 그럼 책속으로 밤따러 가보자구요~
알밤 주우러 가자!는 총 3편의 단편 동화로 구성되어 있어요. 1. 알밤 주우러 가자!, 2. 미꾸라지 잡기, 3.구수한 찐쌀 등 너무 재미있고 구수한 동화들이랍니다.
그중 책 제목과 같은 첫번째 이야기는 산이나 논, 동네 언저리에 있는 밤나무에는 알밤이 붉게 익어서 저절로 떨어지기도 합니다. 주인공 호철이는 친구들과 동네 이곳 저곳으로 알밤을 주우러 다닙지요. 동네 아는 아저씨 밤나무에서 줍기도 하고 또 이웃 동네 모르는 아저씨 산에서 밥을 줍기도 하지요. 그러면서 떨어진 알밤을 줍기도 하고 송이째 떨어진 밤을 까다가 가시에 찔리기도 하고, 얼른 주우려고 달려가다 쭉 미끄러져 밤송이 위에 엉덩방아를 찧기도 한답니다. 논에 들어가서 밤을 줍다가 쭉 미끄러져서 벼를 쓰러뜨리기도 하구요. 그러면서 어른들께 혼도 많이 나고 또 친구들간에 서로 더 가지겠다고 싸움도 합니다. 그래도 우리 아이들이 이처럼 자연과 가까우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리고 마지막이야기,, 찐쌀인데요~ 책을 읽던 아이가 엄마도 찐쌀을 먹었냐고 질문도 하더라구요. ㅎㅎㅎ 저도 시골 태생은 아니여서 가끔 할머니가 오시면 얻어 먹던것이 찐씰이라고 그 맛을 이야기 해주기도 했는데 우리집 아이들은 아직 먹어보지 못했네요~
아이가 책을 읽으면서 이처럼 시골의 구수한 사투리가 이렇게 풀어서 설명이 되어져 있었답니다. 그러면서 아이는 엄마인저도 서울 태생임을 알고 질문을 던지더라구요~ 이말의 뜻은? ㅎㅎㅎ그래서 아이랑 하나하나 자세히 알게된 단어도 있었답니다.
이책을 읽은 현진이는 초등학교 3학년이랍니다. 그러면서 책을 읽고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했어요.
웃긴점과 느낀점과 알게된점
웃긴점은 사투리로 써서 글을 써서 글을 쓴 것이 웃겼다. 옛날에 추어탕을 만드는 밥을 알았다. 그리고 밤주우러가 넘어져서 엉덩이에 밤가시가 박힌게 너무 웃겼다. 나도 밤을 따고 싶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옛날에는 미꾸라지가 중요하였구나 하고 느꼈다. 그리고 나도 추어탕 직접만들어준 추어탕을 먹어보고싶다. 나는 시골에 가서 미꾸라지도 잡고 밤도 까보고싶다.
이렇게 독서록을 작성했어요. 현진이는 양가 조부모님들이 다 서울에 살아서 시골에 가본적이 없답니다. 그래서 시골에 가는 친구를 조금 부러워 한답니다. 그래서 주말농장을 다니는데요~ 항상 고구마를 심고 수확도 하는데 이렇게 다양한 시골체험을 해 보고 싶은가 봅니다. 추어탕은 먹지도 않는데,,,, 직접 만든 추어탕이라~ 나중에 아이랑 추어탕 만드는걸 해보아야 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