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독서모임에서 싱아, 지난 달에 그 산에 이은 박완서 작가님의 8월 그 남자 선정. 싱아와 그 산이 유년기와 성년기 자전소설로 이루어진 연작의 느낌이라면, 그 남자는 약간 앞에 두 작품과 거리감 있는 외전의 느낌이었다. 소설의 그 남자는 이름은 다르지만, 앞선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의 첫사랑을 연상하게 한다. 특히 영화관에서 장갑을 뒤집어 발을 따뜻하게 했다거나, 한 살 어린 미청년이란 서사는 똑같다. 속 깊은 남편도 상당히 유사하다. 그러나 설정이나 서사나 여러가지 면에서 두 작품은 서로 다른 이야기. 그래서 그 산을 애정한 독자라면 섭섭하거나 호불호가 갈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내 경우는 그 남자 > 그 산 > 싱아 ㅎㅎ 물론 이런 비교가 무슨 의미가 있게냐마는.
🏡 소설은 자전적인 요소와 소설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있다. 이제 박완서 작가님의 작품은 겨우 세 편째지만, 항상 작품 속 시대적 배경과 개인의 삶이 잘 어우러져 있다는 감탄을 하게 된다. 옛날 시대의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작품 속 인물의 감정에 공감이 되고,나 자신의 경험을 반추하게 되었다. 이건 단순히 주요 서사인 연애에 한정된 건 아니다. 작품속에는 주요 등장인물을 비롯한 많은 인물이 나오는데, 독서모임에서는 시대적 배경이 인물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나누었다. 그러면서도 그 시대 뿐 아니라 현재에서도 있음직한 인물들이었다. 그리고 어머니들 - 주인공의 어머니, 시어머니, 첫사랑의 어머니, 춘희 어머니 - 네 분도 시대를 다 다르게 보여주면서도, 현재에도 각기 이해가 가는 모습이 있다.
🏡 그리고 주인공 나. 아, 역시 수동적이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지만, 또 막 나가진 않는다. 작품만큼 주인공도 호불호가 있을 수 있지만, 난 이렇게 솔직할 수 있는 모습에 끌렸다. 주인공 나 만큼 시선이 가는 인물은 춘희다. 춘희의 삶은 안타까우면서도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삶을 살아갔던 것 같기도 하다. 둘 다 다른 모습이긴 하지만 인간적인 바닥을 드러낸다.
🏡 독서 모임에서 소설 속 시대와 현재의 삶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언급하며, 여성의 시선으로 쓰여진 소설에 대한 감상을 나누었다. 그리고 힘든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과 연대, 과거의 인연과 현재의 관계에 대한 생각, 시간이 흐르면서 변화하는 가치관까지. 책은 가독성이 좋아 잘 읽혔지만, 소설이 던지는 질문은 아직도 쉽게 대답하기 어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