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스웜 -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세상을 뒤바꾼 가장 영리한 집단
피터 밀러 지음, 이한음 옮김, 이인식 해제 / 김영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일까 궁금했다. 스마트 스웜이라 하면 영리한 집단정도로 해석이 될 수 있을터인데 그럼 인간집단을 말하는 것일까 생각했었다. 문화로도 지능으로도 아직까지 지구상에는 인간을 따라올 집단은 없는 듯 하다. 그렇다면 인간사회의 성과를 말하고자 하는 책일까? 그런데 책을 읽다보니 그건 아닌 듯 하다. <스마트 스웜>은 지도자나 리더가 없어도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일사불란하게 조직을 운영하는 무리를 말하고 이 집단들 안에는 흰개미 벌꿀 메뚜기등의 곤충류와 새들을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교육을 받은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특정 지휘나 감독체계가 성립되어 있어 따르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스스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으며 반복적인 단순행동과 규칙들을 통해 보이지 않는 패턴이 형성되었고 이를 통한 상호작용은 작은 개체지만 살아남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개미는 영리하지 않다 영리한 것은 군체다.

어릴 적 집앞에서 너무나도 재미있게 구경을 하곤 했던 개미들이 있다. 크기도 다양했고 그 수도 어마어마 했던 그들은 한줄로 길게 늘어서 먹이를 운반하기도 하고 개미굴이라 불리는 통로를 통해 끊임없이 일을 하기도 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를 읽으며 막강한 지도자와 서로 밀접한 협동체계에 의한 분업일 거라고 굳게 믿고 있었던 개미들의 행동양식이었다. 그런데 실제로 어떤 이해관계도 없고 목적도 없으며 작업계획도 없고 임수를 완수해야 한다는 책임감 또한 없으며 단순히 태어날때부터 그렇게 하기로 되어 있었던 것처럼 운명에 순종하고 있는 각 개체들의 집합이라는 것에  정말? 하고 놀라움을 느낀다. 여왕개미는 단순히 알만을 낳고 정찰개미는 늘 정찰만을 하며 일개미는 늘 일만한다. 하지만 개미들만의 이 유연한 체계( 자기조직화: 개체들이 본능적으로 행동을 서로 조정하는 것) 가 그들을 1억 4천만 년에 걸쳐 진화하도록 그리고 생태계에서 번성하도록 만든 힘이라는 것에 이 <스마트 스웜>이 누군가 진두지휘를 하는 사람이 있어야 사회가 돌아간다고 생각하는 인간들이 가진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개미 뿐만이 아니다. 저자는 꿀벌, 흰개미, 참새를 통해 스마트 스웜에서 인간들이 경쟁사회를 이기거나 사회에 더 공헌을 할 수 있는 키워드를 찾아내고자 한다. 어떻게 인간이 곤충들에게서 시스템을 배울 수 있을까 싶겠지만 아주 오랜시간동안 수많은 개체들의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찾아낸 합리적 시스템은 이미 산업사회 전반에 걸쳐 접목이 되고 있다. 

 

꿀벌들은 개체수가 많아져 새집을 물색하고자 할 때 다양한 정보원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중 가장 최적의 장소를 늘 찾아낸다. 이는 모든 사람들이 한가지로만 생각하고 같은 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는 식의 천편일률적인 사고에서 벗어나는 대중의 힘이 때때로 영리한 개인들의 힘을 능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식의 다양성: 집단 내 개체들의 다양한 지식을 경쟁시켜 근사치를 얻는 것

흰개미 둔덕에 대한 연구는 군체의 계속 변하는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융통성있고 영리하며 유연한 구조를 만듦으로써 수많은 개체들의 효율적인 협력을 유도해 나가는 것을 배운다. 임시집단이더라도 공동과제에 참여 하고 성과를 이루어 낸다는 것은 우리라는 소속감과 안정감 그리고 동질감이 생겨 분산협동에의 열정을 이끌어낸다. (간접협동: 한 집단의 개체들이 작은 변화에 자극을 받아 어떤 구조를 만들고 그 구조에 자극받아 다른 개체들이 새로운 구조를 창조하는 것)

마지막으로 참새나 찌르레기 떼를 통해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이웃에게 보여주는 작은 관심들과 세심한 주의는 서로의 행동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된다. 서로의 행동을 조정할 수 있고 신속한 정보전달체계를 만들어 내며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의 근거를

이웃에게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적응 모방 : 집단내에서 가체들이 어디로 향하는지, 무엇을 알고 있는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움직이는 것)

 

아주 흥미로운 내용들이다. 우리의 생활속에서 벌어졌던 기업과 사회에서 다루어졌던 실례를 통해 좀더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집단지능'의 모습이었다. 하급생물이라 생각했던 곤충이나 세떼들의 행동양식과 협력체계를 연구하고 분석함으로서 인간조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과 골치아픈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보고 이미 산업전반에 걸쳐 좀 더 나은 조직과 유통체계들을 만들어 가고 있다니 진정 인간이 가장 뛰어난 집단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려울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아주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