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플랑크 평전 - 근대인의 세상을 종식시키고 양자도약의 시대를 연 천재 물리학자
에른스트 페터 피셔 지음, 이미선 옮김 / 김영사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에서의 과학교육은 실험과 관찰이 아닌 암기 위주였고 고등학교가 문과와 이과로 나뉘어 특히나 문과친구들은 과학에 대한 관심은 멀어졌다. 과학은 늘 어려운 과목이었고 재물포( 재땜에 물리 포기했어)는 물리선생님의 단골 별명이 되어버렸고 학창시절에 충분한 고통을 안겨줬다. 내가 과학에 대한 배타심을 너무 직설적으로 얘기했나? ^^

 

물리를 배워본 사람이라면 플랑크상수가 얼마인지는 몰라도 그 이름은 기억할 것이다. 1900년 막스플랑크가 고온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열복사의 세기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상수로 h로 표시하는데 그 후 양자역학의 확립과 함께, 불확정성원리에 의한 서로 상보적 양은 각 불확정성의 곱이 h보다 커지도록 하는 것 외에는 동시에 측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그 기본적 의미가 있으며, 물질입자의 입자성과 파동성의 이중성을 보증하는 상수로서, 미시적인 세계의 본질에 관계하는 중요한 양으로 간주되었다. 헉~ 사전에서 발췌했는데 무슨이야기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하지만 다시 묻게 된다. 그래서 막스 플랑크가 누구야? 라고.. 

 

이 위대한 과학자의 과학적인 업적을 담은 <막스 플랑크평전>을 읽었다. 천재물리학자였지만 삶이 행복한 것만은 아니었다. 세차례의 큰 전쟁을 겪었고 아내는 병으로, 딸들은 출산을 하며 잃고 형과 큰아들은 전쟁에서 죽고 작은 아들은 처형을 당해 네자녀를 모두 먼저 떠나보내는 슬픈 가족사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과학연구에 몰두하는 훌륭한 학자로서의 모습을 볼 수 있고, 나치치하에서도 유대과학자들을 옹호하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는 등 후배들에게 존경받을 수 밖에 없는 인품을 가졌음을 알수 있다. 또한 다 이해한다고 하면 거짓말이겠지만 과학계의 경이로운 발견으로 비약적 발전을 하는 물리학의 흐름을 훑어보는 기회도 가질 수 있다.

 

막스 카를 에른스트 루트비히 플랑크 (Max Karl Ernst Ludwig Planck)는 양자역학의 기초를 성립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1918년에 노벨상을 받은 독일의 과학자이다. E=mc²의 공식을 만들어낸 무명의 과학자 아이슈타인을 발굴하였고 근대와 현대를 잇는 가교역활을 함으로써 과학계의 눈부신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양자역학의 발전으로 우리가 영화나 소설의 소재로 많이 보는 타임머신에 대한 이론을 설명하고 또 이를 이용한 시간여행이나 평행우주의 상상을 가능케 하였다니 실로 놀라운 분이 아닐수 없다.

 

사실 이 책은 얼마 전 전제원의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독서의 즐거움>에서 1년에 한 권정도는 과학책을 읽어야 한다는 글을 읽고 용기를 내어 선택한 책이다. 어릴적에는 위인전을 참 많이 읽었는데 나이를 들고 보니 남의 지극히 개인적인 삶을 들여다 보고 비평하는것에  관심이 가지 않았고 더구나 과학처럼 거부감 드는 어려운 학문을 한 학자들의 생은 더더욱 그랬다. 하지만 <막스 플랑크평전>을 읽다보니 조금 다른 생각이 든다. 우리가 누리는 수많은 과학적인 혜택들, 당연히 쓰고 받아들이고 있는 기술과 원리들이 수많은 과학자들의 노력과 희생 그리고 수 많은 실패와 좌절속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알게 되었기에 그들의 삶을 조명하고 배울점을 찾아야 한다는 마음이 들었다.

 

과학계로서의 위기의 순간이었을지 모르는 혼란과 상실의 시대에 중심을 잡았던 과학자 막스플랑크는 단지 위대한 과학자이기만 한 것이 아니었다. 후덕한 할아버지의 인상을 가진 그는 마음이 따뜻했고 예의가 바른 사람이었으며 음악을 좋아했고 가족을 사랑했고 학문에 대한 열정과 자신에 일에 대한 옹고집적인 면이 있었다. 어쩌면 막스플랑크보다도 더 많이 알려진 과학자인 알베르트 아이슈타인조차도 그에 대해 경의와 찬사를 아끼지 않았던 것을 보면 그가 기초를 닦고 발전시킨 과학에의 위해한 발견으로만 평가받기에는 지금껏 막스 플랑크협회라는 단체로 이름이 남아 있는 이유와 후학들이 가지고 있는 그에 대한 인간적인 존경심을 표현하기에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우리에게도 이런 과학자가 언젠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져본다. 이미 그 오래전에 천문대와 금속활자를 만들었고 천상열차분야지도와 그 외에도 많은 과학적 성과를 이루어내었던 우리 민족이기에 각 분야에서 한국과학발전을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고 힘쓰는 과학자들 중에 곧 노벨 과학상을 받는 첫 순간이 올 수 있을것이라 생각하며 이 책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