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안에서 - 1%의 차이가 만드는 좋은 사진과 나쁜 사진 프레임 안에서 1
데이비드 두쉬민 지음, 정지인 옮김 / 정보문화사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요즘처럼 디지털 카메라 한 대가 절실할 때가 없다. 필름카메라는 정말 옛날 것이기도 하고 필름값을 감당할 수 없으며 (^^) 가지고 있던 카메라는 이미 수명을 다한지 오래라 인상깊은 또는 남기고 싶은 또는 기억하고 싶은 것들이 생기면 휴대폰 카메라로 찍어두고 있다. 하지만 화질나쁜 휴대폰의 소유자로써 이마저도 탐탁지 않음은 어쩔 수 없다.

 

사진.. 여행을 좋아했던 내가 사진을 찍기 시작한 것은 얼마되지 않은 일 같다. 사진을 찍는 것도 찍히는 것도 그닥 달가워하지 않았었는데 티벳을 여행하면서 네팔의 히말라야를 올라가면서 사람들을 자연이 눈에 들어와 정신없이 고물 카메라의 셔터를 눌러대면서 사진에 맛을 들인거 같다. 여전히 사진을 잘 찍지도 못하고 사진기의 종류도 잘 모르지만 어떻게 하면 사진을 잘 찍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은 늘 가지고 있었던 거 같다.  <1%의 차이가 만드는 좋은 사진과 나쁜 사진>이라는 부제가 눈데 들어 온 것은 이런 마음의 끌림이 아니었을 까 싶다.

 

사진은 말을 한다. 사람들의 표정에서 행동에서 하늘의 색에서 공간의 느낌에서 건물들의 건조함으로 말한다. 시대가 담겨있기도 하고 세월의 고단함이 담겨 있기도 하다. 이런 것들을 한 컷의 사진에 담아 낼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은 어떤 것일까를 궁금해하고 배우고파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를 설명한 사진책들의 출간이 러쉬를 이루고 있다. 이 책 <프레임안에서>를 읽게 되었을때는그런 책 중의 하나일거라고 생각했다.

 

물론 사진 한장에 작가가 원하고자 하는 의중을 함축시킬수 있고 모두가 찍고 싶어 하는 이미지를 어떻게 포착할 것인지에 대한  여러 스킬들이 나온다. 그렇지만 이 책을 읽으며 좋았던 것은 사진을 잘 찍고 싶었서 알고 싶은 기술적인 부분보다는 사진을 왜 잘 찍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 주고 있음이었다. 사진을 찍는 사람들의 경험과 다양한 사진들을 담아내고 그 사진 한장한장에 묻어있는 작가의 땀과 정성들을 소개해 낸다. 단지 와~ 멋진 사진이구나 하는 감탄만을 자아내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호소력을 사진을 보는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노력을 말하고 있음이다.

 

같은 것을 보았지만 서로 보는 느낌은 다르다. 한장의 사진이 배경이 무언인지 주변의 소품들은 무엇이 있는지 작가와의 소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얼마나 달라질 수 있는지 몰랐었다. 여지껏 사진이란 그저 추억을 기념하기 위해 찍거나 열심히 셔터를 눌러 수많은 사진 중 한 장 정도 건질 수 있다면 좋다는 생각이었다. 이 풍광을 이 사람들의 사진을 정말 잘 찍고 싶다는 욕망이 그리 많았던 것은 아닌거 같다.

 

저자가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는지가 여기에 있다고 한다. 사진을 단순히 테크닉에 의한 예술적 측면에서만 볼 것이 아니라 어떤 대상을 사진에 담아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살펴볼 수 있게 하는 것, 제대로 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더 의미를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 데이비드 두쉬민이 월드비전등의 인도적 구호단체를 위한 홍보사진을 찍으며 자신의 렌즈에 담긴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고 존경하고 함께하는 세상이라는 것을 좀더 강력하게 말하고 싶었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진 뿐만 아니라 삶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한 책인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