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도록 책만 읽는
이권우 지음 / 연암서가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부터 책을 읽으면서 서평이란 것을 쓰기 시작했다. 서평의 단어의 뜻을 보니 서평 [書][명사] 책의 내용에 대한 평. 이라 한다. 책에 내용에 대한 평이라. 내가 쓴 서평을 살펴보니 나는 초등학생의 독후감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게 된다. 책이 재미있다 없다가 내용에 대한 평이라면 서평에 가까울지도 모르나 약간의 스포일이 첨가된 상태로 책을 읽는 느낌을 주로 다루고 있음을 보게 되니 역시 서평이란 단어를 쓰기는 무리가 있겠다 싶다.

 

참 세상엔 글을 잘 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소설이나 시처럼 자신의 감성세계를 다룬 글을 잘 쓰는 사람들도 많지만 남이 쓴 글을 읽고 적절한 단어들로 책에 대한 이야기를 표현 잘 하는 사람들도 많은 거 같다. 온라인 서점이나 인터넷 책 카페 등을 다니다 보면 온통 그런 멋진 글들로 도배가 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으니 우리나라는 글 잘 쓰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 나도 글을 잘 쓰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부러움이 생기기도 한다.

 

저자도 나의 그럼 부러움의 대상이다. 책읽기의 달인, 호모부커스 제목의 책을 통해 저자를 먼저 접하게 되었지만 사실 책은 읽어 보지 못했다. 저자의 네번째 평론집이라니 그의 공력을 미루어짐작할 수 있다. 매일매일 쏟아져 나오는 수 많은 책들 가운데 저자가 읽고 감동하고 버리고 또 지적호기심을 충족시켜주고 즐거움을 느끼게 해 준 110권을 문학 인문 과학 고전 등의 7가지 분야로 나누어 정리한 책에 대한 이야기가 꼼꼼하게 담겨 있다. 지난번 김탁환의 독서열전에서도 느낀거지만 역시 그래도 많은 책을 읽는다고 스스로 뿌듯해 했던 내 자신이 초라해질 만큼 다양한 책들에 대한 내용과 기본정보들과 적절히 평론이란 느낌의 글들을 배합하여 쏟아내었다. 길지 않은 분량이기에 읽기도 부담이 없고 무엇보다도 골라읽는 재미가 있다.

 

아! 책이란 이렇게 읽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이란 읽고 즐거우면 그만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나 작가가 글을 쓴 의도, 말하고자 하는 것들 시대상황 그리고 행간에 가지워진 숨김까지도 읽어 내려갈 수 있어야 진정한 책읽기가 되는 거구나 하는 느낌이다. 더구나 한편으로 편중되어 있는 책읽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책읽기를 함으로서 지적능력과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워나가고 실천해 갈 수 있도록 해야 겠다라는 것도 생각하게 된다. 제목은 눈에 익으나 어려울 거라고 멀리했던 인문의 몇몇 책들은 용기를 내어 도전해 보아야 겠다는 마음도 든다. 경제라면 학창시절을 빼고는 공부해 본 적이 없다는 것을 돌아보고 이제는 우리 시대의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가지려고 노력해 봐야 겠다.

 

어릴적 책을 읽는 것은 간접경험을 하는 것이다라는 말을 많이 듣고 자랐다. 하고 싶은 일 보고 싶은 곳 먹고 싶은 것 너무나도 많지만 주어진 환경속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는 없기에 책 안의 다른 이의 경험을 내것으로 만들어 마치 내가 겪은 것 처럼 느끼고 알게 되는 것이다 라는 말이다. 그런데 그 경험이란 것이 역시 활자로 이루어져 있다 보니 여지껏 너무나 소홀하게 행해진 기분이다. 이제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책 읽기가 사람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인간의 삶에 어떤 좋은 결과를 가져다 주는지를 그래서 책 읽기를 통해 우리 스스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죽도록 책만 읽는 저자에게 도움을 받아 볼까 한다. 독서를 정말 잘하는 누군가에 의한 이끌림을 받는 것 이거 기분 쏠쏠히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