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발칙한 지식인을 만나다 - 왕을 꾸짖은 반골 선비들
정구선 지음 / 애플북스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에게 목숨은 하나다. 권력자에게 대항을 할 때는 사실 목숨을 내놓는다는 심정으로 해야 할 것이다. 더구나 왕권이 어느 시절 보다도 굳건하고 셌던 조선시대라면 두말할 나위가 없다. 가장 힘 센 사람에게 다른 의견을 말한 다는 것 만큼 힘든 일이 있을까? 나와 관계된 일이 아니라면 나조차도 그냥 묻어버리고 싶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조선의 지식인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왕의 심기를 건드릴 줄 뻔히 알면서도 충언이라면 직언도 마다하지 않았던 열다섯 처사들의 이야기가 담긴『조선의 발칙한 지식인을 만나다 애플북스』를 만나본다.

 

자신들이 가진 재산인 학문과 인품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교육에 힘쓰고 정치의 중심에서 권력을 탐하기 보다는 재야에 묻혀 자연과 벗삼아 세상의 오류를 시로 읊어 내던 처사들 그들이 바로 발칙한 지식인들이다. 처사의 뜻은 벼슬을 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사는 선비들 정도로 알고 있었는데 조선시대의 개념은 약간 다르단다. 관직에 임명되었어도 이를 거절하고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출사를 했다고 하더라도 돌아와 은거생활을 하던 일들도 모두 포함되어 있단다. 요즘이라면 공무원이 되는 길을 마다했다는 이야기인데 글쎄 나라가 어떻게 돌아가든지 내 먹고 살 일만 해결되면 된다고 생각하는 나라 녹을 먹는 사람들이 비일비재한 현실에서 생각해 보아야 할 부분이 아닌가 한다.

 

전하는 왕위에 오른 뒤 도대체 무엇을 하셨습니까?

이 말이 절절히 다가오는 이유는 요즘 정치권과 너무나도 맞아떨어지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무릇 지도자란 자신의 안위만 걱정해서도 안되고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서도 안된다. 그 위치란 것이 큰 돈과 힘을 좌지우지 할 수 있기에 무슨 이유로 자신이 그 자리에 있는지를 마음속에 머리속에 두고 한시 잊어서는 안된다. 어렵고 힘든 시간일수록 백성들은 지도자들의 멋진 활약과 결단을 기대하게 되고 이에 부응하여 행동하는 것이 다시금 나라를 활기차게 돌아가게 하는 일이다. 조선시대 왕이 실정을 할 때면 상소를 올려 꾸짖고 자신의 소신과 신념을 굽히지 않았던 처사들, 그 처사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선비라 함은 도포에 갓쓰고 예절을 중시하며 걷는 것 마저도 조심스러운 사람들이라 생각했다. 예와 도에 어긋나는 일이라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며 유교적 관점에서 항상 생각하여 보수적이고 고지식하고 융통성 없는 사람들이라 때론 답답하리라 생각했다. 하지만 올곧은 사고와 지식이 있었기에 조선의 처사들은 물질적 유혹에서 당당할 수 있었고 어떤 힘의 경쟁에서도 기죽지 않을 수 있었으며 자신들이 하고픈 말을 모두 뱉어버리는 용기를 가질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날카롭지만 옳은 이야기를 쏟아내는 처사들 앞에서 그들을 힘으로 굴복시키려 때론 벼슬로 달래보려한 임금의 모습은 더욱 초라해 질 수 밖에 없었으리라.

 

멋지다. 왕을 꾸짖을 수 있었던 반골 선비들의 끝이 항상 행복했던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멋지다. 때론 가난에 휘청이고 때론 정치싸움의 희생양이 되어 사라져 갔다 하더라도 바른 말을 서슴치 않았던 그들의 정신이 남아 지금의 우리에게 전해지는 것을 보니 배울 점이 많다는 것을 느낀다. 조선의 유명한 선비도 대단한 재상 아니었다지만 그들과의 만남이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