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악하악 - 이외수의 생존법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때론 유명작가의 글을 읽는다는 것이 부담스러울 때가 있다. 더구나 그 책이 베스트셀러에 있다면? 

이외수 작가의『하악하악』도 그랬다.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연일 베스트셀러에 목록에 들어 있기에 궁금은 했다. 그렇지만 이외수 작가의 글을 접해 본 적도 없거니와 기인(?)이라는 세간의 평가가 살짝 망설이게 만든 것이 사실이다. 책을 선택하는 기준에 대한 나의 편견을 깨닫는 순간이지만 어쩔수 없지 않은가 라는 말로 스스로를 이해시키면서 말이다. 

하지만 내용에 대한 기대감과 더불어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깊숙히 남은 책이 내게는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궁금해지기 때문에 결국은 읽게 되었다. 하악하악 ..

 

세상에는 좋은 글귀가 참 많다. 읽다보면 가슴에 절절히 남는 감동을 주는 말도 있고 키득 웃다가 결국은 큰 소리의 웃음으로 마무리짓게 하는 것도 있다. 인생에 대해 깊히 생각하게 만들기도 하고 뭐 같은 세상 그래 열심히 살아보자 하고 화이팅을 외치게 하는 경우도 있다. 글이란 그런거 같다. 평소에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떠올리고 사색하게 만드는 것, 마음속에 머리속에는 있지만 인지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끄집어 내주는 마력같은 것이 있다.

 

그렇게 좋은 글이 가득 담긴 책을 나이를 먹으면서 자꾸만 멀리하게 된다. 긴 문장은 어지럽고 지식을 위해 읽어야 하는 책들은 어려워진다. 귀차니즘과 게으름의 발동이 동시에 걸려 자꾸만 쉬운 책들에 손이 간다. 간단한 문장이 좋고 그러면서도 나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어야 한다. 오랜만에 그런 책을 만났다. 이외수의 하악하악

 

이 책을 읽기 전 누군가 내게 말했다. "왜 사람이 손이 두개지 아냐? 오드리 햅번이 그랬다네. 한손으로는 자신을 보살피고 다른 한손으로는 남을 보살리하는 뜻이라고. 그럼 다리가 두개인 이유는? 한 다리로는 자신을 지탱하고 다른 한 다리로는 나쁜 놈들을 조낸 걷어차주라느 뜻이라네. ㅋㅋ (p46에 있는 내용이다) 어디서 알았냐 물어보니 하악하악에 담긴 내용이란다. 생각해 보니 그러네.. 정말 나쁜 놈들에게는 때로 발길질도 자비요 축복이다.

 

읽다보니 예전 『김홍신 작가의 인간시장 』이란 소설이 떠오른다. 엿 같은 세상을 하느님께 항변하며 나쁜 놈들 물리치는 정의의 사자처럼 종횡무진하던 주인공 장총찬 모습이 왜 이 책 속에 투영되어 보이는 걸까? 수염을 기르고 안경을 쓰고 영락없는 기인 할아버지의 모습인데 이외수작가의 모습이 자꾸만 겹쳐 웃음이 터져나온다. 아무래도 책 안 가득담긴 "쩐다. 조낸, 킹왕짱, 하악하악, 즐," 같은 신세대 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시원한 말투에 하나님, 저는 아직 괜찮습니다. (p74) 처럼 이 땅을 굽어보는 신에 대한 귀여운 투정이 너무나도 다른 두 주인공(장총찬과 이외수)를 하나의 이미지로 오버랩시키고 있나 보다.

 

이외수의 생존법이라. 팍팍하고 답답한 세상이다. 언젠가부터 모르게 힘들다는 말을 연발로 쏘고 있고 지쳐가는 만큼 위로를 받을 건덕지기는 없다. 마음을 비운다는 말 그 말을 가슴에 새기며 살고 있다. 마음을 비우는데 이 책이 도움이 되지 않나 싶다. 인기가 있는데는 이유가 있다. 포기하지 말라. 절망의 이빨에 심장을 물어뜯겨본 자만이 희망을 사냥할 자격이 있다. (p73) 근데 어쩌지. 난 아직 심장을 뜯겨보진 않았으니 그래도 내게 희망을 사냥할 자격을 달라. 이외수식대로 외쳐봐야 겠다.조낸.ㅋ

 

읽으며 가슴에 콕 박힌 말

 

길을 가다 돌부리에 걸려 넘어졌다.

길을 가던 내가 잘못이냐 거기 있던 돌이 잘못이냐.

넘어진 사실을 좋은 경험으로 받아들이면 누구의 잘못도 아니다.

인생길을 가다가 넘어졌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당신이 길을 가면서 같은 방식으로 넘어지기를 반복한다면 분명히 잘못은 당신에게 있다. p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