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을 잃다
박영광 지음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별을 잃다 는 홀어머니 밑에서 어려운 성장기를 보낸 경찰관 한진수가 두 아이의 아버지가 되어 일상생활의 힘겨움과 더불어 행복감도 함께 느끼어 가고 있을 즈음 범죄자의 손에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한 후 영혼의 시선으로 남아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삶을 돌아 보게 되는 시간을 담담하게 그려나간 소설이다.


 

읽는 내내 가슴을 아리게 하고 결정타 한방으로 눈물을 쏙 빼고 마는 이런 소설은 싫었다. 공포영화 보기를 무서워하면서도 이유를 말할 수 없는 끌림에 극장을 찾는 다는 친구 녀석을 놀린 내 자신이 머슥하게도 뻔한 스토리일진데 눈물샘을 자극해 내는 활자에 번번히 당하는 나를 보게 되어 마음을 아프게 하는 책은 손에 잡지 않았다.

 

일상생활에서도 순직하는 경찰관이나 소방관을 보면 먹먹해진다. 그냥 직업일 뿐이다. 사명감이나 책임감이 없다면 거짓말이겠지만 가정을 이루고 있는 사람들이 가족의 생활을 위해서 직장을 다니듯 그들도 자신의 자리에서 묵묵히 일을 했을 뿐이다. 그런데 왜 목숨이 담보가 되어야 할까? 일계급 특진이나 훈장 정도로 간 사람들을 대신하고 남은 가족들을 위로한 다는 것은 어불성설인 일이다. 창촐지간에 남편을 아버지를 잃어버린 아이들이  헤쳐나가기엔 이 세상이 너무나 험하다. 나라에서 주는 죽은 사람의 목숨값이란 표현을 쓴 저자의 마음이 느껴지는 듯 하다. 희생이란 단어는 숭고하지만 너무나 쉽게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지워지고 고통은 가족들의 몫으로 남는다. 죽음을 곁에서 지켜본 사람이라면 염을 하는 동안 흐르는 눈물을 닦아 본 사람이라면 말을 하지 않아도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가 현직 경찰관이어서 그랬을까. 사건의 현장이 너무도 생생하게 그려지고 솔직히 한진수가 죽는 모습은 영화 친구 (Friend, 2001) 에서 장동건이 죽는 장면과 너무도 유사하게 전개 되고 진수가 죽은 후에 마치 영화 사랑과 영혼 (Ghost, 1990)  의 패트릭 스웨이지가 연인 데미 무어를 바라보며 곁에서 지키다 따뜻한 빛과 함께 저 세상으로 사라지듯 직장동료들, 아내, 아이들과의 추억을 아프게 회상하며 바라보는 시선이 너무나 안타깝다.

 

억울하고 비참하게 죽어갔다. 한진수의 몸에 난 20번의 칼자국은 생각만 해도 소름이 돋는다. 아침에 손을 흔들며 헤어졌는데 금방 일어나 얘기를 할 거 같은데 죽은 사람은 말이 없다. 비오는 날 우산을 들고 오겠다던 아빠를 학교 정문에서 한 없이 기다리는 지운이의 상처입은 마음을 누가 달래 줄 수 있다는 것인가. 이젠 수진이의 레드선에 눈을 뜰 아빠가 없다는 것을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까. 통사람의 조금씩 젖어드는 행복을 앗아가버린 하늘이 원망스럽다.

 

그냥 앞만 보고 가야하 하는데 자꾸 돌아봐진다.

가는 길에 구부러진 길이 없었으면 좋겠다.

돌아보면 뒤가 모두 보이게........p269

 

오랜만에 눈물을 흘렸다. 여름이라고 스릴러와 추리소설에 젖어 살던 내게 뚝뚝 흐르는 눈물은 아직 내 안에 마르지 않은 감성이 살아 있음을 알게 해 준다. 각박하고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속에 이기적이 되어가고 남의 불행을 강건너 불구경 하듯 관심없어 하는 듯 보였지만 그래도 아픔을 공감할 수 있는 따뜻함이 남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