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리된 평화
존 놀스 지음, 박주영 옮김, 김복영 감수 / 현대문화센터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어린시절 읽어 보지 못했던 성장소설을 어른이 되어서 읽는 느낌은 새롭다.
때론 학교 때 가지고 있었던 (그게 무었때문이었는지는 모르지만) 공포나 두려움이 생각나고 자만감에 젖어 스스로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 나지 못했던 쓸데없던 으쓱거림에 피식거리는 웃음이 나기도 한다. 아무리 과학이 발전하고 시대가 바뀌어도 아이들이란 그 마음이 똑같은 것일까?
친구란 가족과 더불어 세상을 살아가는 힘이 되는 원천이다. 각박한 사회속에서 자신을 다독거려줄 수 있는 탈출구인 셈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돈독해지는 우정이지만 경쟁심이 솟구칠때면 감당할 수 없는 질투와 세상에 중심에 서있다 생각했던 자신을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어떤 친구를 사귀느냐가 인생의 흐름을 결정할 수도 있단다 라는 말은 지금에 와서 돌아보면 맞는 말도 틀린 말도 아닌듯 하다. 여기 또 하나의 가슴 아픈 성장 소설 분리된 평화 (원제 존 노을스 (John Knowles )의 A Separate Peace)을 읽으면서 친구란 무엇일까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주인공들이 처하는 상황과 상처받은 어린 마음들을 다독거려 주게 되는 나 자신을 발견하며 나의 어린 시절을 향한 항해를 시작한다.
제 2차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즈음 학교생활에 젖어 있는 소년들에게 전쟁은 앞으로 함께 해야 할 설레임이자 두려움이었다. 모든 것에 능동적이고 능력을 보이는 피니어스와 안으로 자신을 감추려 하는 진이 서로에게 특별한 친구가 된 것이 이 모든 것의 시작이었다. 인정이란 단어에 인색했던 진은 사소한 질투로 피니어스를 나무에서 떨어져 불구가 되게 만들고 마음 한켠에 미안함을 소유하게 된다. 의심과 죄책감 사이에서 우정은 이미 금이 가기 시작했지만 겉으로는 평화가 펼쳐지고 있다. 전쟁에 대한 견해의 차이는 이들의 우정에 대한 시험을 다시 한번 수면위로 솟아오르게 하고 문제의 그 나무에서 피니어스의 짧은 생이 마감된다.
학창시절 한번씩은 경험했던 경험이 있지 않을까. 너무나 모든 것을 잘하는 친구는 동경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너무나 미운 질투의 화신으로 나를 만들게도 한다. 이만큼 살고 보니 어린시절의 영특함과 풍요로움이 세상을 사는 동안 쭉 이어지는 것은 아니지만 당시의 어린마음에는 상처라 되고 경쟁심으로 불타 스스로에게 미련맞을 만큼 고통을 주기도 했다. 피니어스와 진도 그랬을 것이다. 친구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우정은 한순간의 잘못으로 평생 씻을 수 없는 아픔이 되어 진의 가슴에 멍울져 있었다. 진은 시간이 흐르기를 기다리며 그저 감추고 있었을 뿐이다. 이제 어른이 되어 데번 스쿨에서 다시 피니어스와 조우한 진이 가지게 된 평화는 어쩌면 피니어스가 처음부터 진에게 가지고 있었던 마음인지도 모르겠다.
발 밑으로 강이 흐르고 커다란 나무 위에서 소리를 지르는 소년들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풍덩하고 다이빙을 하는 소년들 사이에 진과 피니어스가 있다. 그리고 아프게 바라보고 있는 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