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약인가, 독인가?
라푸씽 지음, 김중일 옮김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mbc 드라마로 방영되었던 허준의 한 장면이 생각난다. 허준이 유의태의 문하로 들어가서 물을 길어오는 것이었는데 사람이 먹는 물을 그것도 약으로 써야 하는 물을 아무곳에서 아무물이나 길어온다고 혼구멍이 나게 된다. 그 때 예진아씨가  33가지의 물의 종류를 말해 주게 되는데 물이란 그저 목마름을 가시게 하는 것이라 생각했던 내게 물에 대한 새로운 호기심을 갖게 해 주었던 장면이었다. 어린시절 학교 운동장에서 친구들과 뛰어놀다 목이 마르면 수돗가로 뛰어가 물을 마시고 산을 오르다 만나게 되는 계곡에서 두손 가득히 떠서 마시던 물에 대한 기억은 이젠 추억일 뿐이다. 물을 잘못 먹어 탈이 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집에서도 끓여 마시지 않으면  집에 정수기를 놓던가 생수를 사서 먹는 경우가 많아졌다. 좋다고 하는 물은 상상도 못할 비싼값으로 팔리고 있다. 인간에게 없으면 안되는 물 너무나 흔해서 소중함을 모르는 물 우리는 먹는 물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일까?

 

『물은 약인가 독인가?』는 평소에 무심코 지나쳤던 물의 존재에 대한 생각을 정립할 수 있는 도움을 준다. 화학적으로 산소와 수소의 결합으로 되어 있는 물은 각양각색의 물로 인간의 주위에서 존재하고 있다. 얼음, 눈, 바다, 강, 지하수, 빗물처럼 천연상태로 존재하는 물을 4장에서 보여주는 건강수 기능수 광천수 순정수 빙하샘물 산소수 소다수 심해수로 음용할 수 있는 종류를 나누어 우리가 먹는 물에 대한 상식을 제공하고 있다.  생명유지를 위해 마시던 물의 기능에서 벗어나 건강을 생각하는 현대인과 상업적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의 목적이 서로 만나 과학적으로 연구를 하게 되고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공기만큼이나 무한한 자원으로존재 할 것 같았던 물의 낭비는 기온변화와 함께 물의 반격으로 이루어져 6장에서 보게 되는 물 부족에 대한 위기나 수많은 오염으로 인해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마구잡이식 개발로 인한 자연 재해까지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리비아 모로코 이지비트 오만 남아프리가 공화국 폴란드의 국가들과 더불어 물부족 국가로 분류되어 있고 농업용수의 부족으로 수자원의 보호와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우리가 마시는 물은 안전한가? 수돗물과 패트병 그리고 정수기의 안전에 대한 정보는 다시 한번 옛날을 그립도록 만든다. 일상생활에서 먹는 물 컵마저도 그 안전성을 걱정하며 마셔야 하는 현실이 안타까워질 뿐이다. 인간의 몸이 80-90%가 물로 이루어져 있다는데 우리의 건강을 스스로 지키기 위해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될 물을 어떻게 음용하고 어떻게 보존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폐수를 강으로 버리는 등의 몰지각한 몇몇 사람의 행동들에 철퇴를 가해야 하고 실생활에서 물의 절약을 위해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조그만 행동들을 습관화시켜야 한다.  물은 우리에게 약이다. 우리가 제대로 알고 사용한다면 말이다. 개인적으로 8장과 9장의 건강하게 물 마시는 법과 사람들마다 다른 물 마시는 특징이 흥미로웠다.  "물은 소중해" 하고 전하는 무대포식 정보가 아닌 충분히 설득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  독자들에게 물 과학을 쉽고 자세히 설명해 주는 책이다. 권위있는 물 영양학자가 전하는 물의 오묘한 신비와 비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절대 필요한 정보이고 꼭 한번 읽어 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