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엄마, 책 먹는 아이 - 한복희의 15년 살아 있는 독서지도
한복희 지음 / 여성신문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내게 있어서 책은 언제나 고개만 돌리면 접할 수 있는 친구였다. 특별히 누군가 내게 책을 읽도록 강요한 것도 아니었고 시험을 위한 책을 읽기 위해 밤을 새 본 기억도 없다. 늘 주변에서 볼수 있었던 동화책과 가끔 커다란 박스에 전집류를 들고 오시던 아버지, 영화만큼이나 나를 빠져들게 만들었던 제인에어나 키다리아저씨에 대한 환상과 설레임은 특별히 국어공부란 것을 하지 않게 한 힘이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한동안 세상사는게 힘들다고 멀리했던 책을 다시 손에 잡게 된 것은 오랜 친구에 대한 추억이 가슴 한켠에서 나를 부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책은 그랬다. 내 인생에서...

 

조카방 가득히 책이 있다. 엄마도 아빠도 할머니 집도 심지어는 이모집까지 책이 가득한 책장 하나 씩은 있으니 자신만의 것을 가지고 싶었던 녀석이 슬금슬금 책꽂이를 점령하기 시작했고 어느덧 벽 하나 가득히 동화책으로 도배를 해 버렸다. 환경이란 것은 무서운 것이다. 이제 막 3살이 넘은 둘째 조카녀석까지 책을 가지고 와서 무릎에 앉으며 읽어달라고 하는 것을 보면 말이다.말도 못하는 녀석이 무엇을 알긴 하는 걸까 싶지만 그 즐거움을 오래도록 간직했으면 하는 것이 조카들을 보는 이모의 바램이 되었다.

 

요즘의 아이들은 초등학생만 되어도 학원에 얽매이기 시작한다. 영어 수학 논술 뿐만이 아니라 미술 음악까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필요한 것들을 위한 사전 준비를 시작하는 것이다. 책 읽을 시간이 없다는 아이들의 푸념은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시험을 위한 공부에 치여 또는 너무나 자극적이기만 한 게임에 빠져 활자를 멀리하게 된다. 슈바이처와 슈베르트조차 구별이 안되는 아이들을 보면서 안타까운 것은 우리 교육의 미래에 대한 걱정이기도 하다. 살아있는 독서지도를 하며 아이들을 만나던 한복희의 책읽는 엄마 책 먹는 아이는 그래서 부모들이라면 꼭 읽어 보았으면 하는 책이다. 현장에서 아이들을 지도하며 느끼고 배운 경험들을 풀어 놓았다고 하니 어떤 노하우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었다. 책 속에는 독서지도에 대한 방법들, 책읽기를 싫어 하는 아이들에 대한 접근법, 놀면서 읽히는 책과 토론들, 까다로운 엄마들과의 상황까지 15년 한복희만의 독서에 대한 관점이 고스란히 에피소드들과 함께 드러나 있다.

 

책 읽기의 중요성은 비단 논술시험 때문만은 아니다. 어휘의 증진과 논제의 파악 요점정리 그리고 역사,문화,사회를 어렵지 않게 알아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와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생활을 접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일을 다 알 수 없기에 책을 통한 대리만족과 경험을 하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사고의 폭을 키워주고 토론을 통한 내 생각 전달하기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중요한 책 읽기도 나이와 숙련도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책 읽기가 습관화되지 않은 친구들에게 그저 부모의 욕심으로  학년이 높아졌다는 이유만으로  읽기 힘든 책을 권하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 관심이 있는 책, 재미있는 책부터  차근차근 한 단계씩 올라가야 한다. 무엇보다도 책과 친구가 되는 것은 많은 시간을 요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젠 너무나 유명해진 빌 게이츠와 오프라 윈프리의 독서찬양론은 성공하기 위해 책을 읽은 것은 아니지만 책이 한 사람의 인생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잘 보여주고 있다. 독서도 편식을 하면 비만이 될 수 있다는 저자의 말에 전적으로 동감하며 독서를 할 수 있는 환경과 부모의 관심이 아이들의 미래를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해 본다.

 

목표는 열정과 에너지를 불러 일으킨다. 그 열정과 에너지는 행동을 유발하고  행동은 변화를 불러온다. p7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