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컨스피러시 -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겨냥한 대 테러 전쟁
에이드리언 다게 지음, 정탄 옮김 / 끌림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2008 베이징 올림픽이 다가오고 있다.

티벳에 대한 탄압으로 성화봉송을 하면서 탈도 많았고 스촨성지역에서의 대규모 지진피해가 많은 사람들을 힘겹게 하고 있다.

그래서 더욱 시선이 머물렀는지도 모르겠다. 베이징 올림픽을 향상 가상의 테러라는 설정으로  베이징 컨스리퍼시는 9.11사건으로 상기된 테러에 대한 공포를 백악관으로 전달된 알카에다의 1차경고를 시작으로 베이징 올림픽을 겨냥한 숨가쁜 전개로 고조시켜 간다. 너무나 아이러니하지 않은가? 평화와 화합의 상징인 올림픽을 겨냥한 테러라.. 현실속에서 일어나면 당연히 안되는 일이지만 소설 속에 등장하는 중국의 인권문제나 이슬람 종교에 대한 기독교국가들의 박해(?), 이에 맞서는 아랍인들의 과격한 공격이 시기적절하게 맞물려 있어 흥미를 자아낸다.

 

상상해 보라. 우리의 주변에서 테러가 일어나는 일을. 아니 상상하기조차도 싫을 것이다. 사람들이 죽고 다치고 가족을 잃고 9.11의 생생한 테러의 장면을 티비로 본 내게 있어 남의 나라 일이긴 하지만 그 끔찍함에 몸을 떨었다. 무너진 인권에 대한 경각심을 위해, 종교적 신념이나 정치적 이권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희생시킨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많은 사람들의 고통이 있어야 관심을 끌수 있다는 잘못된 선택은 그들의 신도 바라는 일이 아닐 것이다. 세상의 비극은 신이 아닌 인간에게서 출발한다.

 

폭탄과 생화학무기가 테러의 무기다.

가상의 인물은 오사마 빈 라덴을 연상시키는 칼리드 카데르의 주도로 1차공격 2차공격 그리고 3차공격이 이루어진다. 일반인들을 생각하지 않은 무지막지한 테러가 전개되고 아비규환이 된다. 치밀하고 계산된 일이다. 빠르게 진행되어 가는 계획된 테러의 전개와 등장인물 모두가 실제의 인물을 머리속에 그리게 만드는 상황이 책에서 눈을 뗄수 없게 만든다.  미국의 충실한 우방인 호주, 미국 정부와 돈에 미친 고위 관료층들의 비리는 세계의 평화를 추구한다는 가면에 가려져 그 음흉함을 감추고 있다. 생각하기도 싫은 생물학무기인 애볼라나 천연두바이러스의 배양과 결과를 보기 위한 인간실험은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생체실험을 떠오르게 해 속을 울렁거리게 한다. 하지만 어디서도 영웅은 빠질 수 없는 법, 오코너와 케이트의 사랑과 그들에게 닥친 위험한 순간들은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경제적으로 서로에게 압력을 가하고 무력으로서 진압하기 힘든 작금의 세계 현실속에서 아랍은 좋은 표적이고 악당으로 만들 소재가 된다. 냉전시대 미국과 소련으로 양분되던 세계를 이제 기독교와 무슬림을 적으로 만들어 영화와 소설에서 너무 잘 써먹고 있다. 어느 편이 착한가를 논하기에는 너무 많은 실타래가 얽혀있다. 단지 우리의 이웃들이 피를 흘리며 죽어가고 있다는 것만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긴박감 넘치는 소설 안에 담겨 있는 메세지를 읽어가며 인류의 이기적인 면을 돌아보게 만드는 베이징 컨스피러시가 우리 모두에게 재미와 더불어 각성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